저작권자 © 원예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농촌진흥청은 전국의 농촌공간에 존재하는 자연자원, 문화자원, 사회자원 등의 어메니티 자원을 발굴하고 지도화해 웹서비스를 통해 전문가는 물론 일반국민들이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농촌어메니티 자원도(Amenity Map)를 구축하고 있다고 밝혔다.농촌진흥청에 따르면 2005년을 사업원년으로 해 2009년까지 전국 600지역 1,230읍면 32,000여 마을의 어메니티 자원도를 완료할 계획으로, 자원도가 구축되면 지역 특성별 효율적인 개발정책 및 투자결정 지원으로 계획적인 농촌개발을 유도할 수 있고, 지역특성을 고려한 자원의 브랜드 창출로 지역가치를 제고할 수 있으며, 주민참여 상향식 발전모형 개발로 내생적 지역개발을 활성화 할 수 있게 된다.농촌어메니티 자원도 사업은 전국의 농산촌 공간에 존재하는 자연자원, 문화자원, 역사자원 등의 지역자원을 발굴하고 지도화해 전 국민이 국토공간을 균형적으로 활용하고 지역주민들이 이를 근거로 농촌체험 등의 소득을 올릴 수 있는 기초 자료(자원도)를 구축하는 것이다.농촌지역 경제활성화를 위해서는 농촌 어메니티자원 발굴과 산업적 활용의 극대화를 위한 어메니티 자원도(Amenity Map) 구축이 필요하여, 2005년도를 농촌어메니티 자원도 구축사업 원년으로 해 2009년까지 전국 600지역 1,230개 읍면의 32,000여개 마을을 대상으로 경제가치가 높은 소재로 발굴 조사하고, 산업화를 위한 자원으로서 정보를 수집·관리하는 기반을 조성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2005년도에는 전국 70개역 149개 읍면의 3,895마을에서 45,000여개 어메니티 자원을 발굴하여 DB화했고, 올해에도 전국 70개 지역 153개 읍면을 대상으로 자원발굴 및 자원도 구축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자원도 관리 및 활용을 위한 연구를 동시에 추진하고 있다.농촌어메니티 자원도 구축사업을 통해 농촌어메니티에 대한 대국민 공감대 확산 및 도농교류활성화를 꾀하고, 농촌 종합개발계획 및 어메니티 관련사업의 기반을 조성하며, 지역 특성별 효율적인 개발정책 및 투자결정을 지원함과 동시에 자원정보 인프라 확충으로 도시자본 유치를 활성화하는 등 계획적인 농촌개발을 유도할 수 있다.농촌의 다양성을 보전하면서 경쟁력 있는 지역개발계획을 수립하고 지역특성을 고려한 자원의 브랜드 창출로 지역가치를 제고하는 등 농촌지역 어메니티산업 창출로 농촌경제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 아울러 농촌지역 생태계 보전 및 생물다양성을 증진하고 주민참여 상향식 발전모형 개발로 내생적 지역개발 활성화를 꽤하는 등 농촌의 어메니티 가치를 증진하고 도·농 균형 발전을 모색할 수도 있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