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작권자 © 원예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호우피해 여파로 채소출하량 감소 전망=배추·무·당근·양배추·감자는 9월 출하량이 집중호우 피해로 출하면적과 단수가 줄어 작년보다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금년 고추 생산량은 재배면적 감소와 기상악화로 인한 다수 감소로 작년산보다 크게 줄 것으로 전망된다. 쪽파는 9월 출하량의 파종지연으로 작년보다 소폭 감소하나, 하순에는 출하량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대파 9월 출하량은 재배면적 증가로 단수감소에도 불구하고 작년보다 많을 것으로 전망된다.▲가격강세 전망=고랭지배추·무 9월가격은 출하량 감소로 평년보다 높겠으나, 배추는 중순이후, 무는 하순부터 하락세가 전망된다. 당근·감자는 9월 출하량이 크게 줄어 강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마늘·양파 저온저장량이 작년보다 적어 9월도 가격 강세가 이어질 듯하다. 금년 고추생산량 감소로 9월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쪽파 9월 가격은 출하량이 소폭 감소하여 평년보다 다소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가격 약세 전망=대파 재배면적 증가로 9월 가격 약세가 전망되며, 겨울·월동대파 면적 증가로 장기간 가격 약세가 우려된다. 양배추 출하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상품성 저하로 9월 가격은 작년보다 낮을 듯하다./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정보센터 제공■배추△집중호우 여파로 9월 출하량은 작년보다 감소=고랭지배추 9월 출하면적은 강원지역 집중호우로 출하가능면적이 줄어 작년 동기보다 7%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고랭지배추 9월 단수는 작년 동기보다 7%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생육기 고온과 잦은 비로 작황이 악화되었기 때문이다. 출하면적과 단수 감소로 고랭지배추 9월 출하량은 작년 동기보다 14%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순별로는 상순 22%, 중순 13%, 하순에는 7% 감소하여 출하량 감소 폭은 점차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9월 가격은 지난달보다 낮으나, 작년보다 높아=고랭지배추 포전거래는 9월 중순이전 출하 물량을 중심으로 거래되었으며, 거래가격은 작년 동기보다 14~25% 높은 평당 8,000~10,000원에 거래된 것으로 조사되었다.배추 9월 상품 10kg당 도매가격은 출하량 감소로 작년 동기보다 24%, 평년 동기보다 58% 높은 8,000원(640만원/5톤트럭) 내외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9월 중순이후 출하량 감소 폭이 줄어들면서 가격은 중순부터 하락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김장철 배추가격 작년보다 약세 전망=금년 가을배추 재배면적은 작년보다 4% 증가하겠으나, 평년보다는 9% 감소한 11,500ha 내외가 될 것으로 추정된다. 금년 가을배추 작황을 작년 수준으로 가정할 경우 생산량은 작년보다 4% 많으나, 평년보다는 5% 감소할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11~12월 배추 가격은 작년보다 낮고, 평년보다는 다소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월동배추 재배면적은 작년보다 증가할 듯=월동배추 재배면적은 작년보다 6%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작년 월동배추 출하기 가격이 높아 마늘, 감자, 파 등에서 작목 전환할 농가들이 많기 때문이다.■무△9월 출하량은 작년보다 감소 전망=고랭지무 9월 출하면적은 상순과 중순에 작년 동기보다 각각 11%, 10% 감소하나, 하순에는 1% 증가하여 전체적으로 9%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고랭지무 9월 단수는 작년 동기보다 6%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생육기 고온과 잦은 비로 작황이 악화되었기 때문이다. 출하면적과 단수 감소로 고랭지무 9월 출하량은 작년 동기보다 15%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순별로는 상순 20%, 중순 16%, 하순에는 3% 감소하여 출하량 감소 폭은 점차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가격 강세는 9월에 다소 주춤할 듯=고랭지무 포전거래는 9월 중순이전 출하물량을 중심으로 거래되었으며, 거래가격은 작년 동기보다 67% 높은 평당 10,000원 이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무 9월 상품 18kg당 도매가격은 출하량 감소로 평년 동기보다 15% 높은 11,000원(513만원/5톤트럭) 내외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그러나 9월 하순이후 출하량 감소 폭이 줄어 가격은 하순부터 하락세를 나타낼 것으로 전망된다. △김장철 무 가격 작년보다 낮을 전망=금년 가을무 재배면적은 작년보다 3% 많으나, 평년보다는 20% 감소한 9,150ha 내외로 추정된다. 이는 작년 가을무 출하기 가격과 금년 파종기 가격이 높아 감자, 콩, 양파 등에서 작목 전환할 농가들이 많기 때문이다. 금년 가을무 작황을 작년 수준으로 가정할 경우 생산량은 작년보다 3% 많고, 평년보다는 15% 감소할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11~12월 무 가격은 작년보다 낮고, 평년보다는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월동무 재배면적은 작년보다 증가할 듯=금년 제주 월동무 재배면적은 작년보다 11%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금년 당근 발아율이 저조하여 월동무로 대체될 경우 면적은 더욱 증가할 가능성도 있다.■고추△기상악화로 금년산 고추 단수 크게 줄 듯=금년산 고추 재배면적은 작년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