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작권자 © 원예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고추=고추의 웃거름은 25~30일 간격으로 포기사이에 비닐 구멍을 뚫어 주도록 하고, 점적관수 시설이 설치되어 있는 포장은 800~1,200배의 물 비료를 주면 효과적이다.장마가 계속되어도 고랑에 물이 고이지 않도록 도랑을 잘 정비하고, 병해충 정보에 따라 역병, 탄저병, 담배나방 등을 예방 위주로 적용약제를 뿌려 방제토록 한다.폭풍 등 비바람이 지난 후에는 상처를 통하여 병원균이 감염될 우려가 있으므로 살균제를 살포토록 하고, 강한 바람으로 쓰러진 고추는 일으켜 세우고 북을 주며 지주대를 보강하여 준다.△마늘·양파=마늘·양파를 수확하여 곧바로 출하하지 않을 때에는 그물망 저장, 엮어 달기 등 간이저장을 하여 분산 출하하도록 한다.오랫동안 저장할 마늘은 상처나 병해충 피해를 받지 않은 것을 선별하여 저장토록 한다.△수박, 참외 등=수박은 너무 무성하게 자라면 열매가 잘 달리지 않게 되므로 웃거름은 초세를 보아가며 1~2회 나누어 주도록 한다.수박, 참외 등 열매채소는 덩굴마름병, 탄저병, 역병 등이 발생하기 쉬우니 예방 위주로 적용약제를 뿌려 방제토록 하고, 배수로 정비 등 포장관리를 잘 하도록 한다.강한 비바람으로 덩굴이 손상되지 않도록 고정시키고, 덩굴이 바람에 날린 경우에는 상처를 통한 병원균 감염이 되지 않도록 살균제를 살포토록 한다.△고랭지 무·배추=지역별로 알맞은 면적이 재배되도록 분산파종을 하되 무는 높은 이랑재배, 배추는 건전한 묘 이식재배로 안전한 재배가 되도록 한다. 지난해 배추 무사마귀병이 발생한 포장은 아주심기 전에 토양훈증소독을 하거나 돌려짓기, 높은 이랑 재배, 석회 시용, 농기계 소독 등을 잘하여 병원균이 전염되지 않도록 한다.장마철 배수구를 정비하여 습해를 예방토록 하고 고랭지에서는 집중호우로 인한 토양 유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피복 또는 등고선 재배를 하도록 한다.△장마철 과원관리=수확기에 있는 과실은 비가 그친 후 2~3일 후에 수확하도록 한다.침관수가 되지 않도록 배수로의 풀이나 메워진 흙을 제거하고, 붕괴 위험이 있는 곳은 정비하며, 토양유실 우려가 있는 과원은 짚, 산야초, 비닐 등으로 피복한다.과일나무의 안쪽부분에 햇볕과 바람이 잘 통하고 농약이 잘 묻을 수 있도록 웃자란 가지는 잘라주고, 바람에 쓰러지지 않도록 받침대로 잘 고정해 주거나 묶어주고, 덕 등을 보수한다.사과 갈색무늬병, 겹무늬썩음병, 점무늬낙엽병의 포자의 확산이 우려될 경우 적용약제로 방제한다.△배나무 역병 방제=역병균은 빗물이나 비바람 등으로 다른 포장으로 전파되며, 장마철에 급격히 확산되므로 과원에 물이 잘 빠지도록 해 주고, 병든 가지나 잎은 발생 초기에 태워 없애도록 한다.방제방법은 병이 걸린 인접 과원으로부터 토양이나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고, 나무줄기가 침수된 과원은 물이 빠진 후 즉시 나무줄기에 약제를 뿌려준다. 줄기나 나무와 땅이 닿는 부분에 발생되면 조기에 발견하여 깎아 내고 약제를 살포하거나 도포제를 처리하여 병의 진전과 전염을 예방한다.△화훼=장마철에는 비가 오고 흐린 날이 많아 시설하우스 안에서 재배하는 화훼류는 햇빛이 부족하여 웃자라게 되므로 아주심기 할 꽃은 햇빛을 잘 받을 수 있도록 포기 간격을 충분히 유지해 준다.9월에 개화를 시킬 국화는 꽃눈이 형성되는 시기이므로 저녁 6시부터 아침 7시까지 해가림을 시작하도록 한다.절화를 재배하는 하우스에서는 온ㆍ습도, 환기 등 환경관리를 잘 하여 품질이 좋은 꽃을 생산하도록 한다. 노지에 재배 중인 화훼류는 진딧물, 응애류 등 병해충 방제를 철저히 해 주도록 한다.△느타리버섯 재배=여름철 느타리버섯 재배사는 버섯이 처음 발생할 때는 18~23℃ 정도의 온도와 90% 정도의 습도가 유지되도록 환경을 조절하여 준다.균상에 버섯이 발생되지 않는 시기에 세균성 갈변병을 예방하기 위하여 차아염소산나트륨, 농용신 수화제 등을 적정 희석배수로 살포한다.또한 재배사 환기창에는 방충망을 설치하고, 중앙통로, 출입문 앞에는 유살등을 설치하여 버섯파리 유충의 밀도를 낮추도록 한다. /농촌진흥청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