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작권자 © 원예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5월 배추 도매가격 상품 10㎏당 2,300~2,700원이 전망된다. 무는 5월 이후에도 도매가격은 하락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당근 5월 도매가격은 보합에가 전망된다. 양파·마늘 5월 가격은 전월보다 낮게 형성될 것으로 전망된다. 풋고추·대파는 5월 도매가격이 작년과 평년대비 약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정보센터 제공■배추△시설봄배추 생산량 평년보다 70% 증가=시설봄배추 재배면적은 작년 출하기와 금년 정식기 가격이 크게 높아 작년보다 30%, 평년보다 54% 증가한 4,823ha로 추정된다.시설봄배추 단수는 기상 여건이 좋아 작년보다 23%, 평년보다 10% 증가한 5,242kg/10a로 조사되었다.추정면적에 추정단수를 적용한 시설봄배추 생산량은 작년보다 61%, 평년보다 70% 증가한 25만 3천톤으로 추정된다.△노지봄배추 생산량 작년보다 21% 증가=노지봄배추 단수는 작년보다 1% 증가하고, 평년과 비슷한 5,184kg/10a로 추정되나, 정식기 일교차가 커 추대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추정면적에 추정단수를 적용한 노지봄배추 생산량은 37만 8천톤으로 작년보다 21% 증가하나, 평년보다는 1% 감소할 것으로 추정된다.△고랭지배추 재배의향면적 작년보다 10% 증가=고랭지배추 재배의향면적은 작년보다 10% 증가한 5,436ha로 3월 조사치 11% 증가와 비슷한 수준인 것으로 조사되었다.이는 봄철 배추가격 하락세에 대응해 농가들이 재배의향을 다소 줄인데다 산지유통인들도 계약재배를 관망하고 있기 때문이다.고랭지배추 월별 정식의향면적은 4월에 작년보다 19%, 5월은 10%, 6월은 4%, 7월과 8월 이후는 각각 10%, 16%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표본농가와 종묘업체 조사결과, 4~5월 정식하는 준고랭지 1기작 배추 재배의향면적은 작년보다 15%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되어 지난달 조사치(12% 증가) 보다 더 증가할 것으로 나타났다.△7월 이후에도 약세 지속=준고랭지 1기작 배추 재배면적이 작년보다 15% 이상 증가하여 7월 도매가격도 평년보다 낮을 것으로 전망된다.■무△시설봄무 생산량 작년보다 5% 증가=시설봄무 재배면적은 작년보다 3% 증가한 1,030ha로 조사되었다.지역별로는 경기·강원이 1%, 충청이 8%, 호남이 4%, 영남은 2% 증가할 것으로 조사되었다.시설봄무 단수는 1~2월 파종기에는 기온이 낮았으나 3~4월 생육기 기상이 양호하여 작년보다 2% 증가한 10a당 3,631kg이 될 것으로 조사되었다.추정 단수를 적용한 시설봄무 생산량은 작년보다 5% 증가한 3만 7,400톤으로 추정된다.△노지봄무 재배의향면적 작년보다 12% 증가=노지봄무 재배의향면적은 작년보다 12%, 평년보다 7% 증가한 8,375ha가 될 것으로 조사되었다.특히, 터널무 재배의향면적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지역별로는 충청이 13%, 호남이 24% 증가하였다.4월 상순 이후 무 가격이 하락한데다 노지터널봄무 재배면적 증가로 봄철 무 가격 하락이 예상되어 재배의향면적은 3월 조사치보다 감소하였다.평년 단수를 적용한 노지봄무 생산량은 30만 7,100톤으로 작년보다 25%, 평년보다 7% 증가할 것으로 추정된다.■양파△금년산 양파 생산량 사상 최대될 듯=통계청 조사결과(4.29), 금년산 양파 재배면적은 2만2,968ha로 작년보다 4% 증가하였으며, 품종별로는 조생종(2,653ha)과 중만생종(20,315h)이 각각 4%씩 증가한 것으로 확정 발표되었다.2011년산 양파 10a당 수확량은 작년보다 5% 증가하여 평년과 비슷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겨울철 한파로 생육이 부진했지만 봄철 기상 호전으로 작황이 회복되었기 때문이다.품종별 양파 10a당 수확량은 작년대비 조생종이 14%, 중만생종이 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조생종 양파 10a당 수확량은 구근비대기 생육 호전과 가격 하락에 따른 수확 시기 지연으로 중만생종보다 증가폭이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한편, 지역별로 경남을 제외한 전지역에서 작년대비 단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남 지역은 주산지인 창녕과 합천 등의 정식 시기 지연에 따른 활착 저조와 겨울철 한파 등의 영향으로 작황이 부진한 것으로 조사되었다.금년산 양파 추정 생산량은 153만 6천 톤으로 작년과 평년보다 각각 9%, 34%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품종별로는 작년대비 조생종이 18%, 중만생종이 8%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대파·쪽파△5월 도매가격 전월 대비 보합세 전망=대파 5월 상품 kg당 가락시장 도매가격은 출하면적과 단수 증가로 작년보다 낮을 것으로 전망된다.그러나 대파 수입이 3~4월에 비해 크게 감소하면서 5월 평균도매가격은 전월과 비슷할 것으로 전망된다.순별로는 상순 가격이 출하 지연되었던 겨울대파가 집중 출하되면서 전월 하순보다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순부터는 겨울대파 출하가 종료되면서 가격은 점차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5월출하량은 작년동월 보다 4% 증가할 전망월쪽파 출하면적은 올해초 충청지역 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