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작권자 © 원예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결실관리(인공수분)=인공수분 적기는 개화 후 빠를수록 좋으나 사과의 경우 중심화 개화가 70~80% 개화한 직후가 적기이며, 배의 경우에는 꽃이 40~80% 피었을 때 이다.1일 중 수분시각은 오전 8시부터 오후까지 가능하지만, 화분발아 및 화분관 신장은 20~25℃가 적당하므로, 오전 10시부터 오후 3~4시까지가 화분발아 및 신장에 가장 효과적이다.기상 조건이 좋지 않을 때(건조, 바람 등)에는 암술의 수명이 단축되므로, 주두에 이슬이 사라진 후부터 오후 늦게까지 꼭 실시하도록 한다.개화 후 고온 건조한 기상이 지속될 때 오전 11시부터 오후 3시 사이에 10a당 4~6톤 (1일)의 물을 2회 나누어 지표면에 물을 뿌려주면 암술의 수정 가능기간이 연장되어 결실률을 높일 수 있다.물을 뿌려 줄 때 개화된 꽃이 물에 젖게 되면 주두의 분비액 농도가 희석되어 꽃가루 부착능력이 나빠질 수 있으며, 특히 인공수분 후에 꽃에 물이 닿으면 주두에 묻은 화분이 소실되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기상재해 피해 과원 대책=동해 또는 저온피해를 받은 과원에서 그 후의 관리를 소홀히 할 경우 다음해 개화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적과, 병해충 관리 등 재배관리 시기를 놓치지 않도록 관리를 철저히 하도록 한다.결실량 확보를 위하여 중심화에 피해를 입은 경우 피해상황을 잘 확인하고 측화를 선택하여 인공수분 실시하는데 수관 상부의 꽃들은 피해가 비교적 적게 받으므로 정성을 기울여 수분작업을 실시한다.열매솎기는 착과가 확실시 된 다음 실시하고 마무리 열매솎기도 기형과 등 장해가 뚜렷이 확인되는 시기를 기다려 실시한다.잎에 피해가 심할 경우 착과량을 줄여주고, 낙화 후 요소를 엽면 살포하여 잎의 활력, 수세회복에 만전을 기한다.△고추=고추 적기정식 시기 및 정식 직전 관리요령은 지역별로 마지막 서리가 내린 후에 하도록 했다. 아주심기 7~10일전부터 온상문을 열어 모 굳히기를 하되 외부기온이 15℃이상일 때 실시한다.개별포트에 모를 기를 때는 아주심기 전 10일경부터 포트 간격을 5~10㎝정도 띄워주어 햇빛을 잘 받도록 한다.모 굳히는 기간에는 가급적 물을 주지 않아 아주 심은 후에 건조에 견디는 힘을 길러주고 아주심기 2~3시간 전에 충분하게 물주기를 하여 모가 수분을 잘 흡수토록 하고 모판흙이 부서지지 않게 한다.아주심기 7~10일전에 모 사이의 중간 모판흙을 삽이나 칼로 잘라 긴 뿌리가 잘라지게 한다.(긴 뿌리가 잘라지면 새로운 잔뿌리 발생이 촉진되어 아주 심은 후에 뿌리내림이 빨라짐)△마늘·양파=포장관리는 비가 올 때는 습해를 받지 않도록 배수로를 잘 정비해 주고, 특히 마늘, 양파를 논에 재배했을 경우에는 습해예방에 보다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마늘종 뽑기는 마늘종이 올라오는 시기는 구 비대기와 일치하므로 적기에 제거하여 구의 비대를 좋게 한다.마늘종은 나오는 즉시 뽑아주되 2~3회에 걸쳐 뽑는 것이 효과적이다.마늘종은 가급적 오전 일찍 또는 해질 무렵이 잘 뽑히므로 이때를 이용, 토양이 과습한 상태에서 마늘종을 뽑을 경우 마늘의 뿌리까지 뽑힐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화훼=거베라 묘는 정식후 2~3년 재배하므로 다양한 화색의 적절한 품종 배합이 매우 중요하다.절화 재배용은 조직배양묘가 사용되기 때문에 종묘업체에 주문하여 적기에 정식한다.모종수는 10a당 6,000주 정도를 준비하고 결주를 고려하여 여분의 묘를 더 준비한다. 재식거리는 70~80cm이랑에 30~40cm 간격으로 2줄 정식한다.본엽이 4∼6매 된 묘를 정식하고, 생장점 부위가 표토와 평행하게 되도록 심는다. 이랑은 가능한 한 높게 만드는 것이 뿌리의 발육이 좋고, 통기성이 좋아질 뿐만 아니라 겨울철 가온 시 이랑 표면적이 넓어 이랑의 온도를 높일 수 있다.정식한 묘는 15∼30일간은 관수(㎊1.5∼1.7)를 충분히 하여 활착을 좋게 하고, 일소가 발생하지 않도록 30~40% 차광을 해 주도록 한다.온도는 최저 기온을 18∼20℃로 관리하고, 지온관리가 가능하면 지온은 20~25℃, 최저 기온을 16∼18℃로 관리하며, 낮에는 25℃이상 되지 않도록 환기에 주의한다.△느타리버섯=여름철 느타리버섯을 재배하려는 농가는 볏짚, 폐면, 종균 등을 준비하여 적기에 입상하고 살균 및 후발효 등 작업을 정밀하게 실시하여 균사 생장이 잘 되도록 한다.느타리버섯·애느타리·팽이버섯 등 병버섯을 재배하는 재배사는 품종별 환경관리를 잘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한다.<농촌진흥청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