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지자체별 관심도 제고 필요”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이 이상기후에 따른 농업 피해를 줄이기 위한 주요 대책으로 주목받고 있으나 저조한 홍보와 낮은 가입률로 제 역할을 다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은 농장 단위로 기상 정보를 정밀 분석해 작물 재해 가능성을 예측하고, 이에 따른 대응 방안을 제공하는 서비스다. 기상청의 동네예보(5×5km)를 기반으로 농장의 지형과 특성을 반영해 30×30m 단위로 세분화된 데이터를 활용하며, 폭염, 저온, 호우 등 15종의 재해 예측 정보와 기온, 강수량, 습도 등 11종의 기상 정보를 예보한다. 농민들은 문자와 모바일 앱 등을 통해 실시간으로 작물별 대응 기술과 관련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2014년 경남 하동과 전남 구례에서 시범사업으로 시작된 이 시스템은 농가들의 긍정적인 반응을 바탕으로 2016년부터 본격적으로 확대됐다. 현재 110개 시군에서 운영 중이며, 올해 말까지 155개 시군으로 서비스가 확대될 예정이다.
농촌진흥청에 따르면,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의 서비스 만족도는 86.6%에 달한다고 밝히며, 올해 말까지 155개 시군으로 확대될 경우 농업 재해를 10% 줄여 약 1,500억 원의 피해를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긍정적인 평가에도 불구하고, 가입률은 여전히 저조하다. 2020년 5.93%였던 가입률은 2024년 기준 4.38%로 감소했다.
이는 지자체의 관심 부족과 홍보 미흡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서비스 해당 지역에도 불구하고 많은 농민이 이 시스템의 존재를 모르고 있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담당 공무원들조차 시스템의 내용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농촌진흥청 관계자는 “농촌진흥청은 기술 개발 관련 업무만 담당하고 있고, 홍보는 각 지자체에서 시행중”이라며 “각 지자체별로 관심이 있는 지자체가 있는 반면 사업에 관심 없는 지역의 경우 홍보가 미흡한 건 사실이다”고 설명했다.
이어 “상황이 이렇다 보니 실시하고 있는 지역들 사이에서도 가입률이 천차만별인 상황”이라며 “지자체의 관심도 제고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 품목농협 관계자는 “각 지역 농업기술센터를 통해 지속적인 교육과 홍보를 할 필요성이 있다”며 “또한, 빈번한 서버 오류로 인해 불편을 호소하는 민원도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농민들이 직접적인 혜택을 체감할 수 있도록 시스템의 운영과 서비스 품질을 꾸준히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