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파 출하면적 전년대비 6% 증가
10월 배추·무 가격 전월대비 하락한 것으로 전망되며, 2025년산 양파·마늘 재배의향면적 전년대비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정보센터 제공
■배추
△출하전망 = 10월 출하량 전년대비 감소 전망되나, 중순 이후 출하지를 확대한 것으로 전망된다.
10월 출하량은 전년 및 평년대비 각각 9.4%, 9.9% 감소한 것으로 전망되나, 고온 및 가뭄으로 준고랭지2기작 배추 생산량 감소, 가을배추 초기작황 부진하나, 10월 중순 이후 출하지가 확대되면서 순별 출하량이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가을배추 작황 회복되고 있어 김장철 가을배추 수급은 현재 기준보다 양호한 것으로 전망된다.
가을배추 생산량은 114만 2천톤~117만 7천톤으로 전망된다. 재배면적은 12,796ha로 전년 및 평년대비 각각 2.7%, 4.9% 감소한 것으로 전망되며, 정식 후 기상악화로 일부 포전 유진되어 전월 조사치 대비 감소폭이 소폭 확대된 것으로 전망된다.
단수는 8,921~9,202㎏/10a으로 전망되며, 정식후 고온과 가뭄으로 초기 생육 부진하고 폭우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가격전망 = 10월 도매가격 전월대비 하락한 것으로 전망된다.
10월 상품 도매가격은 15,000원/10㎏ 내외로 전월 대비 하락, 전년 및 평년대비 상승한 것으로 전망된다.
■무
△출하전망 = 10월 출하량 평년대비 감소 전망되나, 중순 이후 출하지가 확대된 것으로 전망된다.
10월 출하량은 전년 및 평년대비 각각 11.9%, 4.5% 감소한 것으로 전망되며, 여름무 생산량 감소로 10월 출하량 줄겠으나, 상대적으로 생육이 양호한 준고랭지2기작 무와 가을 일반무 출하가 시작되면서 순별 출하량은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가을 일반무 생산량은 39만 3천톤으로 전망되며 전년대비 11.2% 감소, 평년 수준인 것으로 보인다. 재배면적은 5,139ha로 전년댑 3.7% 감소, 평년대비 4.2%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파종기인 8~9월 기상악화로 발아가 부진하여 9월에 재파종·보식 진행, 파종시기는 전년대비 5~10일 가량 지연된 것으로 보인다.
단수는 7,647ha로 전년 및 평년대비 7.8%, 4.4%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발아기인 8~9월 고온 및 가뭄으로 결주 및 생육 불균형 발생, 고온 이후 9월 중·하순 비로 병해(무름병, 뿌리혹병)가 발생하여 초기작황 부진하나, 향후 기상여건에 따라 회복이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가격전망 = 10월 도매가격 전월대비 하락한 것으로 전망된다.
10월 상품 도매가격은 18,000원/20㎏ 내외로 전월 대비 하락, 전년 및 평년대비 상승한 것으로 전망된다. 10월 중순 이후 상대적으로 작황이 양호한 준고랭지2기작 무 출하로 순별 가격은 하락한 것으로 전망된다.
■마늘
△저장동향 = 2024년산 재고량 전년 및 평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재고량은 8만 5천 톤으로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5% 감소한 것으로 전망되며, 입고량은 9만 3천 톤으로 생산량 감소로 전년 대비 6%, 평년 대비 7%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출고량은 6,100톤으로 전년 대비 8%, 평년 대비 27%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민간 수입 물량 증가와 소비 위축 등으로 저장마늘 출고량이 감소한 것으로 보이며, 난지형 평균 입고가격은 4,000원/kg 내외로 전년 3,300원/kg 내외로 전망된다.
△가격전망 = 10월 깐마늘 가격 평년 수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상품 도매가격은 7,100원/kg 내외로 2024년산 재고량 감소로 전년 6,770원 대비 높고, 평년 7,160원과 비슷한 수준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양파
△수입전망 = 10월 수입량 전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9월 수입량은 6,140톤으로 전년 대비 59%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TRQ 실수요자 배정 물량(50% 관세 적용) 등으로 수입량이 많았던 전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전망되며, 수입양파 시장 출하가능가격(신선 기준)은 1,200원/kg 내외로 관세 135% 적용한 것이다.
10월 수입량 전년 대비 감소 전망은 국내산과 수입산 가격 차이가 크지 않아 수입수요가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가격전망 = 10월 양파 가격 전년 대비 약보합세를 보였다.
상품 도매가격은 1,250원/kg 내외로 전년 1,260원 대비 하락한 것으로 전망된다. 재고량은 전년보다 많아 국내산 출하량 전년 대비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대파
△출하전망 = 10월 출하량 전년 대비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10월 출하량은 단수 감소하나, 출하면적 늘어 전년 대비 6% 증가한 것으로 전망되며, 출하면적은 전년 대비 15% 증가, 강원지역 재배면적이 늘어 출하면적 전년보다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예상단수는 전년 대비 8% 감소한 것으로 보이며, 주산지 지속된 고온과 가뭄 영향으로 병해(잎마름병, 뿌리썩음병)가 발생하여 단수가 감소한 것으로 보이며, 9월 하순 전국적인 집중호우 영향으로 일부 지역 침수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가격전망 = 10월 대파 가격 전년 대비 하락한 것으로 전망된다.
상품 도매가격은 2,200원/kg 내외로 전망되며, 주산지인 강원지역 출하면적 증가로 전년 2,790원보다 하락한 것으로 전망된다. 태풍 등 기상 변화에 따라 실제 가격은 전망치 대비 변동이 가능하다.
■당근
△출하전망 = 10월 당근 출하량 전년대비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10월 출하량은 전년 및 평년대비 각각 5.6%, 7.9% 감소한 것으로 전망되며, 당초 여름당근 출하량은 작황이 부진했던 전년대비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으나, 추석까지 이어진 늦더위 영향 등으로 작황이 분하여 출하량이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가을당근 생산량은 5천 6백톤으로 전망되며, 전년 및 평년대비 각각 3.7%, 12.9% 감소한 것으로 전망되며, 재배면적은 164ha로 전년대비 2.2% 증가, 평년대비 6.5%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단수는 3,395㎏/10a으로 전년 및 평년대비 각각 5.8%, 6.8% 감소한 것으로 전망되며, 파종기인 7월부터 이어진 고온과 가뭄 영향으로 전년대비 작황이 부진하나 향후 기상여건에 따라 회복이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가격전망 = 10월 도매가격 전월대비 하락한 것으로 전망된다.
10월 상품 도매가격은 70,000원/20㎏ 내외로 전월대비 하락, 전년 및 평년대비 상승한 것으로 전망된다. 출하량 감소로 가격은 전년대비 상승하나, 향후 가을당근 작황 회복 및 당근 수입량에 따라 변동이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