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과일류 농업관측
10월 과일류 농업관측
  • 원예산업신문
  • 승인 2024.10.16 10:1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과, 10월 출하량 전년대비 20.9% 증가
감귤, 고온으로 인한 착색 불량 출하 지연 전망

금년 주요 과일 생산량 전년대비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정보센터 제공

■사과
△출하전망 = 10월 사과 출하량 전년대비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10월 출하량은 전년대비 20.9% 증가한 것으로 전망되며, 10월 주출하 품종(양광, 감홍, 착색계 후지 등) 생산량은 증가, 출하 지연된 홍로는 출하했다.
11월 이후 출하량은 후지 생산량이 늘어 전년대비 21.6%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가격전망 = 10월 사과 가격 전년대비 하락한 것으로 전망된다.
10월 양광 가락시장 상품 도매가격은 전년 72,900원 대비 낮은 48,000~52,000원/10㎏ 내외로 전망된다.

■배
△출하전망 = 10월 배 출하량 전년대비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10월 출하량은 전년대비 14.1% 증가한 것으로 전망되며, 이른 추석 영향으로 9월 출하량 전년대비 줄어 10월 출하량은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고온으로 숙기는 빠르나, 착과수 증가 및 과비대 부진으로 대과 비율은 전년대비 감소할 것으로 예측된다.
11월 이후 출하량은 전년대비 26.5%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가격전망 = 10월 배 가격 전년 및 전월대비 하락한 것으로 전망된다.
10월 신고 가락시장 상품 도매가격은 전년 53,300원 및 전월 49,000원 대비 낮은 40,000원/15㎏ 내외로 전망된다.

■감귤
△출하전망 = 10월 노지온주 출하량 전년대비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10월 출하량은 전년대비 8.8% 감소한 것으로 전망되며, 고온으로 인한 착색 불량으로 출하가 지연된 것으로 전망된다.
11월 이후 출하량은 전년과 비슷할 것으로 전망된다.
△가격전망 = 10월 노지온주 가격 전년과 비슷할 것으로 전망된다.
노지온주 가락시장 상품 도매가격은 9,000~11,000원/5㎏ 내외로 전망된다. 출하량 감소하나, 품질 저하로 수요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포도
△출하전망 = 10월 포도 출하량 전년대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10월 포도 출하량은 전년대비 5.4% 증가, 캠벨얼리 출하량은 전년대비 3.4% 감소, 샤인머스캣 출하량은 전년대비 6.7%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캠벨얼리 출하량은 재배면적 감소와 작황 부진으로 전년대비 감소, 샤인머스캣은 생산량이 늘어 전년대비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가격전망 = 10월 포도 가격 전년 및 전월대비 하락한 것으로 전망된다.
샤인머스캣 가락시장 상품 도매가격은 전년 10,900원 및 전월 11,400원 대비 낮은 8,000원/2㎏ 내외로 전망된다.

■단감
△출하전망 = 10월 단감 출하량 전년대비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10월, 11월 이후 출하량은 전년대비 각각 20.8%, 30.7%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고온으로 생육이 지연되어 11월 이후 출하량 증가폭이 10월보다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10월 출하될 전반적인 단감 품질은 전년대비 양호한 것으로 전망되며 다만, 8~9월 폭염과 가뭄으로 크기는 다소 부진한 것으로 전망된다.
△가격전망 = 10월 부유 가격 전년대비 하락한 것으로 전망된다.
부유 가락시장 상품 도매가격은 전년 35,200원 대비 하락한 30,000원/10㎏ 내외로 전망된다.

■수입과일
△바나나 = 10월 수입량 전년 및 전월대비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9월 동향은 주 수입국인 필리핀산 산지 작황 부진(가뭄피해 등)으로 전년대비 1.8% 감소, 10월 전망은 할당관세 기간 연장 및 수입국 다변화로 전년대비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파인애플 = 10월 수입량 전년 및 전월대비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9월 동향은 필리핀산 품질 문제로 공급량이 줄어들고 있으나, 할당관세 영향으로 전년대비 32.2% 증가, 10월 전망은 할당관세 기간 연장 및 필리핀산 산지 작황이 회복될 것으로 예상되어 전년대비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망고 = 10월 수입량 전년대비 증가, 전월대비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9월 동향은 태국산(로얄망고) 산지 작황 부진 등으로 전년대비 22.6% 감소, 10월 전망은 국내 수요 증가 및 할당관세 영향으로 전년대비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오렌지 = 10월 수입량 전년 및 전월대비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9월 동향은 공급과잉에 따른 재고 누적으로 전년대비 68.2% 감소, 10월 전망은 호주산 시즌 종료 및 소비 부진 등으로 전년대비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포도 = 10월 수입량 전년 및 전월대비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9월 동향은 국내산 포도 출하량 증가에 따른 가격 하락으로 전년대비 33.8% 감소, 10월 전망은 국내산 포도 가격 하락 및 소비 부진 등으로 전년대비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