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략 작물 산업화 정책 추진
전략 작물 산업화 정책 추진
  • 권성환
  • 승인 2024.10.16 09:5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농진청, ‘콩 자립형 융복합단지 조성 사업’ 추진
권재한 농진청장이(오른쪽 세번째) 콩 생산단지 생육상황을 점검했다.
권재한 농진청장이(오른쪽 세번째) 콩 생산단지 생육상황을 점검했다.

정부는 2022년 기준 28.6% 수준인 콩 자급률을 2027년까지 43.5%로 높이기 위해 전략 작물 산업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은 콩 생산 기반 조성과 국산 콩 산업 활성화를 뒷받침하기 위해 2023년부터 지방자치단체와 협력해 ‘콩 자립형 융복합단지 조성 사업(이하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각 권역에 콩 전문 생산단지를 조성, 파종부터 수확까지 전 과정을 기계화하고 품질 균일화를 위한 수확 후 종합처리, 지역특화 콩 제품개발까지 연계해 콩 산업 성장 동력을 창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생산단지 조성에만 그치지 않고, 지역 내 소비 활성화까지 가능한 융복합단지를 육성하는 것이다.

현재 충남 당진, 전남 함평, 충북 괴산, 경남 사천이 사업 대상지로 선정돼 특화단지 모델로 육성되고 있다. 내년에는 경기 파주, 경북 영주로 넓혀갈 예정이다. 

가장 먼저 사업이 적용된 충남 당진의 경우, 습해를 줄이고 콩 수확량을 늘리는 ‘무굴착 땅속 배수 기술’을 투입해 시범 재배지를 조성했다. 기술 투입 후 논콩 재배면적도 153헥타르(ha)에서 올해 223헥타르로 확대됐다. 

이와 관련, 권재한 농촌진흥청장은 지난 8일 오후 충남 당진의 사업 현장을 찾아 논콩 생육 상황을 점검하고, 순성농협 콩 선별시설 운영과 당진 콩 특화상품 개발 현황을 살폈다.

이 자리에서 권 청장은 “콩 자립형 융복합단지 조성 사업을 통해 논콩 안정생산을 위한 기술 전파와 재배면적을 점진적으로 확대하고, 용도별 신품종 콩 보급과 품질향상, 민간과 협업해 지역 콩을 활용한 특화 제품개발에 힘쓰겠다”고 전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