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사포인트 - 딸기, 밤낮 온도차 클수록 야간 저온으로 관리
농사포인트 - 딸기, 밤낮 온도차 클수록 야간 저온으로 관리
  • 원예산업신문
  • 승인 2024.10.16 09:3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중만생종 배 수확시기 성숙일수·적산온도등 의해 결정

△시설채소 = 바이러스병 예방은 어린모 심기 전에 시설하우스의 측창이나 출입구에 방충망 설치, 하우스 내 잡초 제거, 심기 1∼2일 전 묘판에 식물 보호제를 뿌려 해충을 방제하고 이상증상 묘는 골라낸다.
10월부터 11월 상순은 외부 온도가 떨어져 시설하우스 내로 매개충인 총채벌레, 진딧물, 담배가루이 등이 들어와 어린 작물에 바이러스병을 옮기기 쉬우므로 집중적 관리가 필요하다.
환경 관리는 보일러 등 난방시설의 점검과 난방용 연료를 충분히 준비한다.

△딸기 = 온도관리는 밤낮의 기온 차가 클수록 야간은 최대한 저온으로 관리하고, 야간 온도가 10℃ 이하로 떨어지면 보온 시작한다.
중부지방은 10월 중순, 남부지방은 10월 하순경에 보온 시작하며, 야간 온도가 15℃를 넘지 않도록 관리해야 액화방의 연속적인 생성을 유도할 수 있다. 이 시기는 액화방이 분화하는 시기이므로 낮 30℃, 밤 13℃ 이상이 되지 않도록 관리하고, 보온 후 지나친 고온은 과번무를 초래하니 주의해야 한다.
초기관리는 보온 개시 후 액아 및 하엽 제거 작업실시한다. 초기 액아는 모두 제거하고, 그 후는 1개 정도 유지하고 토양은 분수호스로 충분히 물을 주고 생육상태를 보아 점적호스 설치한다.
수경재배는 아주심기 후 한 달 동안 EC 0.6∼0.8로 저농도 관리한다.

△과실수확 = 과실 수확은 하루 중 온도가 높은 때를 피하고 온도가 낮을 때 수확하여 과실의 양분 소모를 줄이도록 한다.
수확기에 비가 내릴 경우에는 병해 감염 우려가 있으니 비가 그친 후 수확하도록 한다.
과실은 한 나무에서도 익는 시기가 다르므로 한번에 수확을 하지 말고 익음 정도에 따라 2∼3회 나누어 수확하여 품질을 높이도록 한다.
과실은 껍질이 매우 연하여 수확할 때 무리한 힘을 가하거나 부딪쳐서 상처가 생기지 않도록 한다.
과실의 꼭지가 빠지면 상품 가치가 떨어지고 저장력이 약해지므로 작업할 때 주의하도록 한다.
과실은 장갑을 낀 손으로 과실을 받쳐 들고 가볍게 위로 젖히면 쉽게 수확할 수 있으며, 과실 담는 용기 안쪽에 스펀지 등을 깔아 과실에 상처가 생기지 않도록 한다.

△배 = 중만생종 배 수확시기는 대부분 봉지를 씌워 재배하므로 과피색, 광택, 과점상태, 열매자루의 분리 정도와 만개 후 성숙일수 및 적산온도 등에 의하여 결정한다.
일반적으로 장기저장용 과실은 만개 후 성숙까지의 일수가 160일, 적산온도 3,442℃가 수확적기이다.
수확 후 직판할 과실은 완숙된 것이 좋으며, 저장용은 장기저장용과 단기저장용으로 구분하여 수확시기를 적기보다 앞당긴다.
수확시기를 앞당기면 저장력은 향상되나 맛이 떨어지고 미숙과는 당분축적량이 적어 빨리 부패하는 경우가 있다.

△화훼 = 초화류 파종 준비는 일년 이내에 씨를 뿌려서 싹이 자라나는 꽃을 피워 자라나는 종류 중에 시네라리아·금잔화 등은 가을철에 파종하여 초봄에 시장에 출하 가능다.
겨울철 관상용을 파종하여 준비하는 시기로 다소 추위를 견딜 수 있는 초화류 준비하여야 한다.

△인삼 = 모밭 파종은 10월 하순∼11월 중순에 가을뿌림(추파)하고 가을에 씨뿌림을 못한 경우에는 이듬해 3월 땅이 녹은 후 즉시 파종한다.
씨뿌리기 2∼3일 전에 씨앗을 깨끗이 씻은 다음 건조하지 않게 그늘지고 서늘한 곳에 안전하게 보관한다.
보관한 씨앗을 침지, 분무 또는 분의하여 소독한다.(병해 방제용 등록농약 안전사용기준에 준함)
개갑이 충실하게 이루어진 4mm 이상의 성숙된 종자를 선별한 후파종장척(파종위치 표시기) 또는 파종기를 이용하여 뿌린다.

■주간날씨와 농사
● 이번 주 농사날씨(’24. 10. 13. ~ 10. 20.) [기상청 발표(’24. 10. 10., 6:00)]
(기온) 아침 기온은 10~19℃로 평년(최저기온 7~15℃)보다 조금 높겠고, 낮 기온은 18~26℃로 평년(최고기온 19~23℃)과 비슷하거나 조금 높겠음.
(강수) 15일 오후~16일 제주도에, 17일 오후~18일 강원영동에 비가 오겠음.
● 이번 주 농사정보(’24. 10. 14. ~ 10. 20.) [농촌진흥청 주간농사정보 제42호]
(벼농사) [적기 수확] 벼의 수확 적기는 외관상 충분히 익고 수분함량이 25% 이하 일 때이며 출수 후 중생종 50~55일, 중만생종 55~60일, 수발아가 발생한 논은 가능한 빨리 수확함 [건조 및 저장] 일반용은 45℃, 종자용은 40℃ 이하에서 건조하며, 저온저장은 수분함량 15%, 저장온도 10~15℃, 상대습도 70~80% 정도 유지
(밭작물) [콩] 콩 꼬투리에 푸른빛이 없고, 노란색이나 갈색으로 변할 때 수확하며 콤바인 수확 적기는 수분함량 18~20% 정도에 실시 [가을감자] 예비 저장은 온도를 12~15℃, 습도 80~85%에서 1주일 정도 실시 본 저장은 3~4℃, 습도 80~85%에 보관
(채소) [마늘·양파] 본 밭 뿌리 활착과 양분 흡수 증대를 위한 적정 수분관리
(과수) [수확] 과실은 익음 정도에 따라 2~3회 나누어 수확하여 품질 확보, 수확은 상처 나지 않도록 온도가 낮을 때, 비 그친 후 실시
(특작) [인삼] 모밭과 직파재배 파종은 수확 예정 시기를 감안하여 파종밀도를 조절하는데 되도록 가을 파종 하고, 건조하지 않도록 관리함

<농촌진흥청 제공>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