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어업위, ‘간척지의 농어업적 이용 증진 위한 정책토론회’ 개최

농식품 수급관리와 농생명산업을 선도하기 위한 간척 농지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대통령소속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는 지난 10일 ‘간척지의 농어업적 이용 증진을 위한 정책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간척지의 효율적 활용 방안을 모색하고, 미래 지향적인 농어업 정책 수립을 위한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마련됐다.
주제발표를 맡은 최우정 전남대학교 교수는 국내외 간척지 현황과 제2차 간척지 종합계획 수립 방향을 소개하며, 간척 농지를 다각적으로 활용해 농식품 수급관리와 농생명산업을 선도하기 위한 융복합 산업기반 마련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최 교수는 특히 수입 의존도가 높은 옥수수·밀·콩 등의 식량안보를 강화하고, 친환경 축산·양식, 관광휴양, 영농형 태양광 등 다양한 토지이용 방안을 제시했다. 또한, 스마트팜 등 첨단생산 기지로의 활용을 통해 농업의 현대화를 촉진하자는 의견을 피력했다.
이어진 종합 토론회에서는 간척지를 활용한 대규모 영농 기반 조성 방안, 농어업 구조개선에 필요한 농생명 첨단 시범단지 조성 방안, 농식품 관련 기업의 참여 방안, 그리고 첨단 기술이 도입된 스마트 농어업을 통한 농업 생산성 향상 방안 등이 논의됐다.
이날 토론회 좌장은 김한호 서울대학교 교수가 맡아 진행했으며, 정운태 한국조사료협회장, 최병문 (유)꼬마농부팜 대표, 이재천 농림축산식품부 농업기반과장, 고종철 농촌진흥청 간척지농업팀장, 박태선 한국농어촌공사 기반사업이사가 토론자로 참여했다.
장태평 농어업위원장은 “어렵게 조성한 간척 농지가 대규모 영농 및 첨단농생명단지 등 명확한 방향이 담긴 중장기 운용계획으로 수립될 필요가 있으며, 농어업위에서도 간척지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한 정책 수립에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