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원 짚·산야초·비닐 등 덮어 토양유실 방지
△고추 = 역병은 6월 초순부터 발생하며, 강우량과 강수일수가 결정적인 발생 요인으로 배수로를 정비하고 이랑을 높여 물이 잘 빠지게 한다.
탄저병은 6월 중하순부터 발생하며, 8~9월 고온다습한 조건에서 급속히 증가, 병든 과실을 발견 즉시 제거하는 것이 농약을 살포하는 것보다 효과적이다. 담배나방은 애벌레 피해를 입은 과실은 연부병에 걸리거나 부패해 낙과하게 되므로 적용약제를 살포해 준다.
총채벌레는 약충, 성충이 모두 기주식물의 순, 꽃 또는 잎을 흡즙해 피해를 주므로 황색점착트랩을 설치해 발생량을 예찰하고 발생 초기에 방제한다.
△고랭지배추 = 아주심기 1주일 전에는 포장 환경에 견딜 수 있게 관수량을 줄이고 온도를 낮추어 모종을 순화시킨다.
뿌리혹병 예방을 위해 적용약제를 정식 직전 토양 전면 혼화 처리하거나 아주심기 전 해당 약제에 어린 모를 침지하여 사전 예방을 하도록 한다.
칼슘결핍증 예방을 위해 균형 있는 비료주기를 하고 적정한 수분을 유지하며 결핍 증상 우려 시 염화칼슘 0.3%액을 엽면시비 해준다.
△장미 및 태풍대비 = 사전대책 수분관리는 외부에서 물이 들어오지 않도록 주변 배수로 정비하고 배수 불량원은 열 중앙에 간이 배수로를 설치한다.
배수로의 경사가 크고 긴 경우는 중간에 집수구를 설치 유속 감소, 배수로의 풀을 베어주고 막힌 곳 등 정비한다.
토양관리는 경사지 과원은 짚, 산야초, 비닐 등으로 덮어 토양유실 방지하고 토양개량에 힘써 뿌리 분포를 넓고 깊게 해주어야 한다.
나무관리는 바람이 심한 과원은 주 풍향 방향에 방풍수나 방풍망을 설치하고 방조망이나 구조물이 있는 과원은 나무에 피해가 미치지 않도록 점검한다.
사후대책은 토양이 유실된 과수원은 뿌리가 마르지 않도록 조기에 흙으로 채워 준다. 복구가 어려운 과원은 재개원을 고려한다.
토사가 쌓인 과원은 토사를 빨리 제거하고, 유기물이 많이 쌓인 과원은 시비량을 줄인다.
△햇볕 데임(일소) 피해 예방 = 일소피해는 높은 과실온도와 강한 광선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발생한다. 해에 따라 발생 정도의 차이가 있으며, 햇빛에 직접 노출되는 과실에 발생한다. 피해가 심한 경우는 피해부에 탄저병 등이 2차 전염하여 피해 발생한다.
예방 대책은 과실이 강한 직사광에 적게 노출될 수 있도록 정지 전정에 주의하고 이후 유인으로 가지를 알맞게 배치한다.
상향과, 주변 잎이 적은 과일 위주로 적과하고, 과다 착과가 되지 않도록 한다.
햇빛이 골고루 들어갈 수 있게 생육기 동안 불필요한 도장지를 제거하되 지나치지 않도록 한다. 관수를 적절히 하여 토양이 과습, 과건조 되지 않도록 한다. 외부온도가 31±1℃일 때 물을 뿌려주어 잎과 과실의 온도상승 억제한다.
△화훼 = 국화 여름철 차광재배는 시설 내 온도가 30℃ 이상이 되지 않도록 차광과 환기하여 주고 야간에도 25℃ 이상으로 온도가 상승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꽃눈 유도 중 고온을 받으면 꽃 속에 다시 꽃이 형성되는 관생화가 발생하므로 차광 개시 후 온도를 30℃ 이하로 관리한다. 고온기에는 화아분화 속도가 빠르므로 초장을 40~50㎝까지 확보한 후 차광을 하고 차광막 내의 광도는 10Lux 이하로 하여 꽃잎이 착색될 때까지 지속한다.
7월 중순 이후부터 수확할 국화는 6시~19시까지 해가림을 지속적으로 실시하여 고온에 의한 기형화와 버들눈(중심화가 미숙한 꽃눈으로 발달)발생을 방지한다.
△인삼 = 장마철 사전대책은 유기물 함량을 2% 정도로 하여 포장의 적습범위 유지 및 통기성 개량한다.
고랑제초기를 이용하여 배수로를 정비하고 두둑을 높게 유지하고 해가림 시설의 늘어진 피복물을 팽팽하게 유지한다. 작토층 상면에 볏짚 등으로 피복한다.
■주간날씨와 농사
● 이번 주 농사날씨(’24. 6. 30. ~ 7. 7.) [기상청 발표(’24. 6. 27., 6:00)]
(기온) 아침 기온은 20~25℃, 낮 기온은 24~33℃로 평년(최저기온 20~22℃, 최고기온 26~30℃)과 비슷하거나 조금 높겠음.
(강수) 30일~3일 전국(수도권과 강원도는 1일 오전 비 소강상태, 제주도는 2일까지)에 비가 오겠음. 4일은 중부지방과 전라권, 경북권에, 5일은 중부지방과 전라권에, 6~7일은 중부지방과 전북에 비가 오겠음.
● 이번 주 농사정보(’24. 7. 1. ~ 7. 7.) [농촌진흥청 주간농사정보 제27호]
(벼농사) [본답관리] 이삭 패기 전 40일부터 30일 사이에 중간 물떼기 실시 [집중호우 대비] 논·밭두렁, 제방, 배수로 등 사전점검 및 정비
(밭작물) [장마철관리] 습해를 받지 않도록 배수로를 깊게 설치 등 사전 정비 [콩] 북주기 작업을 제초와 겸하여 파종 후 30~40일경, 개화 10일 전 실시
(채소) [고랭지배추] 칼슘결핍증 예방을 위해 균형 있는 비료 주기, 적정 수분 유지, 결핍 발생 시 염화칼슘 0.3%액 엽면시비
(과수) [장마·태풍] 배수로 정비, 경사지 과원 토양유실 방지, 방풍수·방풍망 등 점검 - 사후대책: 침수된 과원 배수로 정비, 흙 앙금은 씻어주고 병든 과실 제거
(특작) [인삼] 장마철 침수 대비 배수로 정비 및 두둑 보수, 침수 피해 발생시 신속히 물을 뺴내고 깨끗한 물로 앙금을 씻어냄
<농촌진흥청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