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산물 물류기기 시장의 경쟁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첫 발인 농협의 물류기기 시장 참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산물 물류기기 시장은 민간 기업이 그동안 독과점 체제(파레트 A사 70%, 플라스틱 박스 B사 65%)로 운영돼 가격과 물류기기 공급에서 문제점을 보이고 있었다. 특히 정부가 지난 1997년부터 지난해까지 지원한 국비 4,200억 원이 민간 기업으로 흘러들어가면서 사실상 정부 돈으로 민간 기업을 육성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었다. 더욱이 일부 민간 기업이 필요한 영농현장에 물류기기를 제때 공급하지 못해 농산물 유통에 문제가 발생하고 이를 해결하는 과정에 추가 비용을 요구하는 등의 현장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돼 왔다.
이에 정부는 지난 5월 1일 발표한 ‘농수산물 유통구조 개선방안’ 중 하나로 제시한 농산물 물류기기 시장 내 경쟁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지난해 연말부터 농협의 적극적인 시장참여를 유도했다.
현재 농협은 농산물 물류기기 시장의 참여를 꺼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미 물류기기 사업이 민간 기업의 독과점 체제가 확립돼 있고 이를 타파하기 위해서는 공격적인 투자가 불가피하기 때문에 자금 동원에 어려움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물류기기를 담당할 농협물류가 2023년 기준 총자산 규모가 약 1,300억 원 수준으로 단독으로 사업을 결정하기 어려워 보인다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실제로 농협물류는 최근 농협경제지주에 물류기기 사업 참여에 대한 보고를 끝내고 최종결정을 기다리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과정에서 농협물류는 농협경제지주에 물류기기 시장성을 낮게 평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 업계관계자는 “그간 물류기기 시장이 민간주도로 운영되면서 크고 작은 문제점이 발생했고 문제 해결에는 뒷전인 물류기기 시장에 새로운 바람이 필요하다”면서 “농협이 농산물 물류기기 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물류기기 시장에서 경쟁을 촉진하고 농민을 보호하는데 앞장서야 한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정부가 지난 5월에 발표한 ‘농수산물 유통구조 개선방안’이 최종적으로 대통령까지 보고된 상황에서 농협이 단독적으로 시장진입 여부를 거부하기는 어려울 것”이면서 “아무래도 허허벌판에 뛰어드는 농협의 저울질이 장고에 들어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시장성 낮게 평가 ‘저울질’, 농민 위해 결단 필요
저작권자 © 원예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