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생종 양파 생산량 전년대비 9% 감소
6월 배추 출하량 전년대비 증가, 무는 감소한 것으로 전망되며, 2024년산 마늘 생산량 전년대비 감소, 중만생양파는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정보센터 제공
■배추
△출하전망 = 6월 출하량 전년 대비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6월 출하량은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6.8%, 8.0% 증가한 것으로 전망되며, 노지봄배추 생산량 늘어 출하량 전년 대비 8.7% 증가, 여름배추는 생산량 줄어 출하량 전년 대비 10.2%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7월 출하량은 전년 및 평년 대비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노지봄배추 저장량 증가하나, 출하 비중 큰 여름배추 생산량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가격전망 = 6월 도매가격 전년 대비 하락한 것으로 전망된다.
6월 상품 도매가격은 7,000원/10kg 내외로 전년 및 평년 대비 하락한 것으로 전망된다.
7월 여름배추 도매가격은 출하량 감소로 전년 및 평년 대비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무
△생산전망 = 노지봄무 생산량 전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시설봄무 생산량은 1만 8천 톤 내외로,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10.3%, 12.1%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재배면적은 146ha,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6.2%, 7.0%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단수는 12,024kg/10a 내외로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4.5%, 5.6% 감소한 것으로 전망되며, 토양 과습 및 비료과다로 생리장해(가랑이무, 열근 등) 발생, 근장 감소로 작황이 다소 부진한 것으로 보인다.
노지봄무 생산량은 8만 8천 톤 내외로,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12.9%, 7.2% 감소한 것으로 전망되며, 재배면적은 816ha 내외로 전년 대비 8.3% 감소, 평년 수준으로 보인다.
단수는 10,821kg/10a 내외로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5.0%, 7.6% 감소한 것으로 전망되며, 과습으로 인한 뿌리 손상 및 생리장해(가랑이무 등) 확산, 발아기 저온으로 추대가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가격전망 = 6월 도매가격 전년 대비 상승한 것으로 전망된다.
6월 상품 도매가격은 15,000원/20kg 내외로 전년 및 평년 대비 상승한 것으로 전망된다.
■양파
△생산전망 = 2024년산 조생종양파 생산량 전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조생종양파 생산량은 19만 2천 톤 내외 전망되며, 전년 대비 9%, 평년 대비 11%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재배면적은 2,971ha 내외로 전년 대비 1%, 평년 대비 2%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예상단수는(농가 및 모니터 조사, 생산량 실측 포함)는 6,462kg/10a 내외로 전년 대비 10%, 평년 대비 12%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구 비대 지연 및 조기출하 영향으로 전년 대비 감소 추정이 전망된다.
2024년산 중만생종양파 생산량 전년 대비 증가, 평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중만생종양파 생산량은 106만 7천 톤 내외로 전망되며, 전년 대비 6% 증가, 평년 대비 3%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재배면적은 15,858ha 내외로, 전년 대비 6%, 평년 대비 4%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예상단수는 6,731kg/10a 내외로, 전년 대비 1% 증가, 평년 대비 6% 감소한 것으로 전망되며, 농업조사전문가협회 작황 조사 결과(5. 30. 기준)는 병해충 발생 전년 대비 적은 수준이나, 일조량 적었고 추대 발생률이 증가하여 구 비대가 다소 부진진 것으로 전망된다.
△가격전망 = 6월 양파 가격 전년 대비 하락한 것으로 전망된다.
상품 도매가격은 1,050원/kg 내외로 전년 1,210원 대비 하락한 것으로 전망된다. 중만생종양파는 생산량 증가로 가격이 하락한 것으로 전망된다. 소구(구 직경 8cm 미만) 비율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어 품위 간 가격 격차 클 것으로 예상된다.
■마늘
△생산전망 = 2024년산 마늘 생산량 전년 및 평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마늘 생산량은 29만 3천 톤 내외로 전년 대비 6%, 평년 대비 10%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재배면적은 23,592ha 내외로 전·평년 대비 각각 4% 감소한 것으로 보이며, 예상단수는1,243kg/10a 내외로, 전년 대비 2%, 평년 대비 7% 감소, 농가 조사 및 9차 생육 실측 결과를 반영했다.
마늘 월동기부터 지속된 강우, 급격한 기온 변화와 생리장해 발생 증가 등으로 지역별·포전별
생육 편차 확대, 4월보다 작황이 전월 대비 생육 ‘악화’ 비중 31% 부진한 것으로 전망된다.
남도마늘 주산지 중심으로 2차 생장(벌마늘) 등 생리장해 발생이 증가해 수량 감소 및 상품성 저하가 예상된다. 2024년산 수확시기는 최근 병해 발생 증가와 잎끝마름 증상 진행이 빨라져 전년 대비 3일 가량 빠른 것으로 조사됐다.
△가격전망 = 6월 깐마늘 가격 전년 및 평년 대비 상승한 것으로 전망된다.
상품 도매가격은 6,800원/kg 내외로 전망된다. 2024년산 생산량 감소로 전년 6,470원 및 평년 6,270원 대비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나, 2023년산 저장마늘 재고가 남아 있어 가격 상승 폭이 제한된 것으로 전망된다.
■대파
△출하전망 = 6월 출하량 전년 대비 소폭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6월 출하량은 출하면적은 증가하나, 단수 감소로 전년 대비 1%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출하면적은 전년 대비 5% 증가, 봄대파 주산지 출하면적이 증가하여 전년보다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예상단수는 전년 대비 5% 감소, 4월부터 지연되었던 생육이 회복중이나, 생육기(2~3월) 잦은 강우와 저온 영향으로 전년 대비 작황은 부진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경기지역은 5월 큰 일교차로 뿌리썩음병 발생이 증가하여 단수 감소폭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가격전망 = 6월 대파 가격 전년과 비슷, 전월보다 하락한 것으로 전망된다.
상품 도매가격은 1,650원/kg 내외로 전망된다. 봄대파 출하지(경기·충청·전북지역 등) 확대되면서 전월 1,890원보다 하락한 것으로 예상된다.
■당근
△생산전망 = 봄당근 생산량 전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봄당근 생산량은 2만 3천 톤 내외로,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10.9%, 13.8% 감소한 것으로 전망되며, 재배면적은 940ha 내외로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1.8%, 1.0%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단수는 2,478kg/10a 내외로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9.3%, 12.9% 감소한 것으로 전망되며, 일조량 부족으로 근성장 부진하며, 5월 강우로 일부 포전 습해가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봄당근 저장(의향)량 전년 및 평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봄당근 생산량 감소로 저장(의향)량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9.6%, 14.8% 감소한 것으로 전망되며, 시설봄당근 저장 입고 시기 5월 중순~6월 중순, 7월 상순 저장 출하, 노지는 6월 중·하순 산지 출하 및 저장작업을 병행한다.
여름당근 재배(의향)면적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8.2%, 9.2%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전년도 출하기 가격 강세 및 고시세 지속으로 타작목에서 당근으로 작목을 전환한 것으로 보인다.
△가격전망 = 6월 도매가격 전년 대비 상승한 것으로 전망된다.
6월 상품 도매가격은 63,000원/20kg 내외로 전년 및 평년 대비 상승한 것으로 전망된다. 봄당근 작황 부진으로 인한 생산량 감소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