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 농한기 꽃매미 난괴 제거 할 때
겨울 농한기 꽃매미 난괴 제거 할 때
  • 원예산업신문
  • 승인 2011.12.19 17:0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북농기원, 꽃매미 확산방지 당부

전라북도농업기술원(원장 조영철)은 지난 13일 김제시 백산면에서 겨울철 꽃매미 난괴제거 활동을 실시했다.
꽃매미는 2006년 우리나라에 처음 발생되어 급속히 확산되어 지난해에는 전북 발생면적은 372ha였으나 그동안 난괴제거, 여름철 적기방제 등 총력방제를 기울인 결과 올해 전북 발생면적은 399ha에 머물렀다.
꽃매미는 가죽나무를 비롯해 산림에 피해를 주기도 하지만 포도, 오디 등 농작물에도 피해를 주고 있다. 꽃매미는 5월 상순에 알에서 깨어나 4번에 걸쳐 탈피를 하고, 7월 중순에서 11월 상순에 성충으로 우화를 한다. 그리고 가죽나무, 포도나무, 뽕나무, 복숭아나무 등 나무 줄기에 40~50개의 알을 산란을 하고, 난괴를 만든다.
꽃매미의 활동이 활발한 여름철에는 농약을 살포해도 야산으로 날아 갔다가 다시 농작물로 내려와 피해를 주는데, 겨울철에는 나무줄기에 움직이지 못한 알 상태로 있기 때문에 방제하기에 가장 좋은 시기이다.
5월이 되면 나무 원줄기에 끈끈이 트랩을 설치하여 나무로 올라가는 어린 벌레를 잡고, 6월 초순경 이동성이 낮은 어린벌레 시절에 적용약제를 살포하면 방제효과를 높일 수 있다.
꽃매미는 당분간 새로운 천적이 정착하기 전까지는 발생지역도 확산되고, 피해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추운 겨울철 농한기를 이용해 꽃매미 난괴를 제거하는 것이 좋은 방제방법인 만큼 올 겨울에도 꽃매미난괴를 제거를 당부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