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지고추 열매가 쪼그라들면서 까맣게 변하는 이상 증상이 발생하여 이에 대한 원인규명과 대책마련을 위하여 실시한 현장기술지원 사례입니다.
▲현황

▲민원인 의견
5월 초순 정식 후부터 7월 상순까지 농약을 5회 살포할 때까지는 이상이 없었으나, 7월 상순경 “○○○”와 “△△△”을 혼합하여 살포한 후 4∼5일경부터 고추열매가 물러지면서 동시에 쭈글쭈글하게 되어 수확을 하지 못하여 손해가 크다.
고추열매에 무름 증상이 나타난 후에도 농약은 7~8일 간격으로 살포했다.
▲현지 조사결과
고추재배 포장은 7∼15%의 경사지로 유거는 양호한 포장이나 두둑을 얕게 하여 올해와 같이 강우량이 많은 장마기에는 물빠짐이 좋지 않아 과습상태가 지속될 수 있는 조건이다.
민원인 포장의 토성은 표토 15cm까지는 사양질 토성이나 그 이상 깊이에서는 식양질 토양으로서 수직배수가 다소 불량한 조건이다.

이상증상을 보이는 고추열매를 관찰한바 끝 부분이 회색으로 마르거나, 윤문반점의 회색으로 마르는 것이 많았으며, 앞의 두 이상증상을 보이는 부위에는 공히 검은색의 곰팡이가 덮여 있다.
또한, 붉은색으로 익고 있는 중이거나, 풋고추에서도 윤문반점을 보이는 열매가 많이 관찰됐다.
포장의 곳곳에는 부분적으로 고사했거나 고사 중인 개체들이 상당수 관찰되었는데 전체 주수의 약 10%로 산견됐다.
민원인 포장의 인근 고추포장에서도 윤문반점을 보이는 열매가 많이 관찰됐다. 길 건너 포장에서는 상당수가, 바로 옆 포장은 다수가 관찰됐다.
▲검토의견
민원인이 사용한 농약 “○○○”는 고추의 담배나방 방제용으로 등록된 약제이고 “△△△”은 단제로는 등록이 되지 않았으나 헥사코나졸과 혼합하여 상표명 “ ? ? ? ?”로 고추 탄저병 약제로 등록되어 있으므로 민원인의 고추 열매가 무르고 쭈글쭈글하게 쪼그라들면서 까맣게 변하는 이상 증상은 “○○○”와 “△△△”을 혼합하여 살포함으로 인한 직접적인 약해일 가능성은 높지 않을 것으로 추측됐다.
이상증상을 보이는 고추열매 중 끝 부분이 회색으로 마른 것은 6월 말경 고온건조기에 발생한 석회결핍증으로 추정되고, 윤문반점의 회색으로 마르는 것은 탄저병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며, 상당수 열매가 두 가지 증상을 같이 보이고 있다.
고추포기 전체가 고사한 것은 역병으로 인하여 고사한 것으로 판단됐다.
고추포장의 두둑이 낮아 오랜 장마동안 과습상태로 지속하여 뿌리활력이 저하되어 면역력 약화로 병 발생이 더욱 심해 졌을 것으로 추정됐다.
▲현장 및 금후 기술지도 방향
품종 선택 시 탄저병에 강한 품종을 선택하여 재배하고, 탄저병은 일단 감염되면 방제가 어려움으로 예방위주로 방제했다.
완숙퇴비를 2,000kg 이상 시용한 후 깊이갈이하여 재배지의 토양 물리성을 개선하고 두둑을 높여서 배수를 잘 되도록 했다.
고추정식 전 토양검정을 실시한 후 시비처방을 받아 알맞은 시비를 했다.
동일 포장에서 30년간 계속 고추만 재배하고 있으므로 연작장해를 회피하기 위하여 다른 작물과 돌려짓기를 검토할 필요성이 크다.
저작권자 © 원예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