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자본주의’와 농업의 가치
‘생명자본주의’와 농업의 가치
  • 원예산업신문
  • 승인 2011.10.17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농진청, 생명자본주의포럼 심포지엄 개최
생명 자체가 훌륭한 자본이 되는 ‘생명자본주의의’의 구체적인 모습을 생명가치에 토대를 둔 농업을 통해 재조명하는 자리가 마련됐다.생명자본주의포럼(위원장 이어령)과 농촌진흥청은 ‘생명자본주의와 농업의 새로운 가치’라는 주제로 생명자본주의포럼 심포지엄을 지난 14일, 서울 aT센터에서 개최했다.이 심포지엄은 농식품부가 주최하는 ‘제2회 생명산업대전’ 학술행사로 개최됐으며, 농업분야를 통해 생명자본주의의 실천모델을 제시하고 생명의 미래 가치를 새롭게 조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열렸다.기조강연, 생명자본주의 농업 실천사례 소개, 농업과 생명을 노래한 시 낭송, 주제발표, 전시회 등으로 진행된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농업분야는 물론, 인문·사회, 경제·경영, 과학·산업, 예술분야에 이르는 다양한 학계, 산업계, 관련 연구원 등 300여명이 참석했다.이어령 위원장은 기조강연에서 현 사회에서 생명자본주의의 진정한 가치가 무엇인지를 조명했고, 중앙대 윤석원 교수는 우리시대 농업문명의 전환이 갖는 의미를, 농촌진흥청 민승규 청장은 생명의 경쟁력으로 새로운 미래를 여는 농업을, 농촌진흥청 박기도 박사는 생명자본주의를 실천하는 농업의 모습을 제시했다.또한 이날 행사에서는 생명자본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농업분야에 접목해 새로운 부가가치를 만들어 온 생명자본주의 농업의 실천사례가 소개됐다.한국시인협회 이건청 회장과 김남조 시인의 농업과 생명의 아름다운 조화를 시로 노래하는 시낭송 시간이 마련됐으며, 생명자본주의의 가치와 농업의 미래에 대해서도 토론이 있었다.농촌진흥청이 주관한 생명자본주의포럼은 앞으로 인문, 경제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과 함께, 미래 사회에 더 큰 가치를 지닌 ‘생명자본’의 체계와 실제 모습들을 제시해 나갈 방침이다.이를 위해 주기적으로 분야별 전문가들의 포럼세미나를 개최하고 생명자본주의 관련 책자 발간과 한·중·일 국제워크숍 등을 통해 생명자본주의에 대한 국내외적 공감대를 더욱 확산시켜 나갈 예정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