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채소류 농업관측
10월 채소류 농업관측
  • 원예산업신문
  • 승인 2011.10.10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배추·무·양배추는 약보합세, 당근은 하락세가 전망된다. 가을양배추·겨울배추를 제외한 가을·겨울 엽근채소 면적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양념채소 10월 가격은 전월 대비 약보합세가 전망된다. 내년산 마늘 재배면적은 증가, 양파는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정보센터 제공■배추△가을배추 생산량은 평년보다 7% 증가 전망=가을배추 재배면적은 작년보다 13%, 평년보다 8% 증가한 15,271ha로 조사되었다. 지역별로는 주산지인 호남이 작년보다 15%, 충청과 영남이 각각 14%, 11%, 경기·강원은 10%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가을배추 단수는 작황이 나빴던 작년보다 9% 증가하나, 평년보다는 1% 감소한 9,575kg/10a로 조사되었다. 작황이 평년에 비해 다소 나쁜 것은 가을배추 정식 이후 기상 여건이 좋았으나 강수량이 평년보다 다소 적기 때문이다.△겨울배추 재배면적 작년 대비 4% 감소=겨울배추 재배면적은 5,015ha로 작년보다 4%, 평년보다 5% 감소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주산지인 전남(해남) 지역에서 가을배추를 정식하려는 의향과 제주 지역에서 월동무와 양배추 등으로 작목을 전환하는 농가가 늘어났기 때문이다.△겨울 출하 가능 가을배추 면적 증가=9월 중순 농업관측센터 조사 결과, 호남지역 겨울배추 재배면적은 작년보다 4% 감소하는 반면, 가을배추는 15%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이는 겨울배추 주산지인 해남 등의 지역에서 내한성이 강해 1월 노지 출하 및 저장 출하까지 가능한 가을배추 품종(남도장군, 불암플러스 등)의 재배면적이 늘었기 때문이다.△10월 출하량 작년 동월보다 28% 증가=10월 배추 출하면적은 준고랭지 2기작과 가을배추 재배면적 증가로 작년보다 13% 증가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단수는 작황이 부진했던 작년보다 13% 증가할 것으로 조사되었다.△10월 가격 평년보다 다소 낮을 전망=10월 가락시장 평균 도매가격은 평년 동월보다 5∼26%, 전월보다 30∼46% 낮은 상품 10kg(3포기)당 3,500∼4,500원(중품 2,200∼3,100원)으로 전망된다. 순별로는 상순이 4,000~5,000원(중품 2,600∼3,500원), 중?하순은 3,000~4,500원(중품 1,800∼3,100원)으로 전망된다.11월 가락시장 평균 도매가격은 출하량 증가로 작년 동월보다 40% 이상 낮고, 10월 중·하순 가격 수준으로 전망된다. 이는 평년보다 다소 낮은 수준이다.■무△가을무 생산량 작년보다 18% 증가=가을무 재배면적은 작년보다 5% 증가하나 평년보다 3% 감소한 7,809ha가 될 것으로 조사되었다. 금년 가을무는 조기에 파종하려는 의향이 높았으나 8월 강우로 인해 충청 일부 지역에서 작년보다 일주일 정도 지연된 것으로 조사되었다.△10월 출하량 작년보다 27% 증가 전망=10월 준고랭지 2기작 무 출하량은 출하면적과 단수 증가로 작년 동월보다 27% 많을 것으로 전망된다. 출하면적이 작년보다 18%, 단수는 8% 증가할 것으로 조사되었다.10월 가을무 출하량은 출하면적과 단수 증가로 작년 동월보다 18% 많을 것으로 전망된다. 출하면적이 작년보다 4%, 단수는 13% 증가할 것으로 조사되었다.11월 가을무 출하량은 출하면적과 단수 증가로 작년 동월보다 30% 많을 것으로 전망된다. 출하면적이 작년보다 20%, 단수는 8% 증가할 것으로 조사되었다.10월 중순까지 준고랭지 2기작 출하량이 증가하고 가을무 조기출하가 시작되면서 출하량이 하순으로 갈수록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10월 무 도매가격 약보합세 전망=10월 무 상품 18kg당 가락시장 평균 도매가격은 고랭지무 출하량이 증가하여 6,000~8,000원(중품 5,000~6,500원)으로 9월 하순 가격과 비슷하거나 낮을 것으로 전망된다. 순별로는 10월 상순에는 9월 하순 대비 보합세이나 중순 이후 하락세를 나타낼 것으로 전망된다.■양파△양파 재고량 작년 동기보다 31% 많아=저장업체 조사결과, 금년 양파 저장량은 작년보다 28% 많은 73만 7,000톤이며 9월 20일까지의 출고량은 작년보다 15% 많은 9만 1,000톤으로 추정된다.이는 금년 양파 저장량이 많아 가격하락을 우려한 저장업체들이 출고 시기를 앞당긴데다 출고량도 늘렸기 때문이다.△10월 신선양파 수입량 적을 듯=9월 말 중국 양파 산지가격은 산동지역 저장량과 내몽고·감숙성의 생산량 증가로 작년보다 49% 하락한 톤당 94달러(600위안)로 조사되었다.9월 1~25일 양파 수입량은 신선양파 300톤, 건조양파 50톤, 냉동양파 220톤이며, 이를 신선양파로 환산할 경우 1,220톤으로 작년 동기(1,540톤)보다 21% 감소하였다.△10∼12월 도매가격 보합세 전망=양파의 10월 상품 kg당 가락시장 도매가격은 재고량이 많아 작년 동월보다 13% 낮은 800원 내외에서 보합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금년산 양파 재고량이 작년보다 31% 많아 저장 출하기(11∼12월) 평균 도매가격도 10월 가격 수준에서 보합세가 지속될 전망이다.■마늘△금년산 마늘 재고량 작년보다 7% 적어=저장업체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