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사포인트
농사포인트
  • 원예산업신문
  • 승인 2011.09.26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고추=노지고추는 적기에 수확하여 다음고추 자람 촉진 및 효율적인 건조 관리로 상품성이 향상된다.진홍색으로 완숙된 고추 적기 수확 실시, 열풍건조기의 적정 건조 온도는 55~60℃에서 36시간 정도 유지해야 한다.수확이 완료된 고추 포장의 병든 고추, 잎, 줄기 등 잔재물 소각 및 제거, 비가림재배 고추는 생육상황에 맞는 적정한 웃거름 주기 및 담배나방, 흰가루병 등 병해충 예찰 및 방제 실시해야 한다.△무·배추=토양이 과습하거나 건조하지 않도록 배수로를 정비하거나 관수 실시해야 한다.무름병, 노균병, 진딧물, 배추흰나비, 벼룩잎벌레 등 병해충 적기 방제해야 한다.웃거름은 무 파종 및 배추 정식 후 15일 간격으로 3회 정도 주되 무는 10a당 요소 7~10㎏, 염화칼리 3~4㎏, 배추는 요소 15㎏, 염화칼리는 2회 때만 17㎏을 주고, 생육이 부진한 포장은 요소 0.2%액을 엽면살포하여 생육 촉진해야 한다.△마늘·양파=난지형 마늘 파종 시기는 9월 하순~10월 상순경이므로 적기에 파종하고 마늘 종구는 종자 소독 약제로 반드시 소독을 한 다음 심도록 한다.마늘 주아재배를 하는 경우 일반 마늘보다 1주일정도 일찍 파종하고, 파종 후에는 알맞은 토양수분이 유지되도록 관리해야 한다.양파 육묘상은 고온 장해 예방, 잘록병 방제, 습해 예방 등을 철저히 하여 우량 묘 생산해야 한다.△사과원 반사필름 깔기=나무의 아랫부분이나 안쪽에 달린 과실은 햇빛을 충분히 받지 못하면 착색 및 품질이 낮은 사과를 생산하게 되므로 나무 밑에 반사필름을 깔아(나무 폭의 2/3 정도 넓이) 주도록 한다.먼저 나무 밑의 풀을 짧게 베어 낸 후 반사 필름을 깔아주는데 이때 가장자리를 고정하여 바람에 날리거나 빗물이 고이지 않도록 해 준다.햇빛을 가리는 가지는 솎아내어 과실에 착색이 잘되도록 한다.과실무게에 의해 늘어지거나 겹쳐진 가지는 끈으로 묶어 올려 가지 사이에도 햇빛이 잘 들어가도록 해 준다.△사과잎 따주기 및 과실 돌려주기=사과 잎 따주기는 노동력 등 농가의 여건을 고려하여 과실에 대한 햇빛 환경을 개선한다는 측면에서 실시하도록 한다.사과 잎을 따 주는 시기는 9월 하순부터 10월 중순에 걸쳐서 3회 정도 나누어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과실 크기와 내년도의 착과에 나쁜 영향을 주지 않도록 전체 잎 수의 1/3 이하로 따 주어야 한다.과실을 돌려주는 시기는 햇빛을 받는 면이 충분히 착색된 이후에 실시토록 하되 과실이 떨어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저온저장고 소독=저온저장고의 소독 효과를 최대한 보기 위해서는 우선 저장고 내부를 솔질을 통하여 물로 깨끗이 청소 한 후 저장고를 하룻밤 말린 다음 염소계 살균소독제(락스 이용 가능)의 약액이 저장고 내부에 흘러내릴 정도로 골고루 살포하도록 하거나, 또는 처음부터 염소계 살균소독제를 첨가하여 청소해도 좋다. 청소 후에는 반드시 문을 열어 충분히 환기시킨 다음 과실을 입고시켜야 한다.저장고가 오래되어 균사체가 많은 곳에서는 물 솔질을 해서라도 균사체를 제거함으로써 저장고 곰팡이 냄새가 저장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저온저장고 소독 후에는 반드시 냄새가 나지 않도록 환기를 충분히 한 다음 저장물을 입고하도록 한다.△화훼=장미의 노균병과 흰가루병은 기온 교차가 심한 요즈음 발생이 많음으로 환경관리를 잘 해주도록 한다. 특히 잎에 이슬이 맺힐 정도의 다습 조건이 되면 노균병 발생이 많아지므로 야간의 습도가 85% 이하가 되도록 난방이나 환기관리에 유의한다.국화 백광 품종을 조명재배 중인 시설에는 100W 백열전구를 3~3.5m 간격으로 식물체 위 1m 높이에 한 등씩 설치하여 조명한다.화훼 재배 하우스내의 낮과 밤의 기온 차가 크지 않도록 환기나 보온관리를 잘 해주도록 한다.거베라의 온도관리는 낮에는 20~22℃, 밤에는 15℃로 하며 일출 후 2~3시간 co2를 1,000~1,500ppm 공급해주면 좋다.오리엔탈 나리 촉성재배 작형은 구근 정식기로 5cm정도 싹을 틔워서 정식하며 재식구수는 80구/3.3㎡정도로 한다.△특용작물=느타리버섯 재배농가에서는 낮과 밤의 기온 차가 심하므로 품종별 생육특성에 맞는 균상 및 재배사 관리가 되도록 온·습도 조절에 유의하여 생리장해로 인한 기형 버섯과 병해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약초는 종류별로 적기에 수확하여 세척, 절단, 건조 등 가공하여 출하하는데, 건조할 때는 알맞은 온도로 말려 품질이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농촌진흥청 제공>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