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작권자 © 원예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밭작물 수확=고구마 등 수확기에 있는 밭작물은 적기에 수확을 하여 뒷그루 작물의 파종이 늦어지지 않도록 한다.고랭지에서 재배되는 감자는 적기에 수확하고, 바람이 잘 통하는 그늘에서 말린 다음 씨감자용으로 보관하도록 한다.△맥류(보리·밀) 파종준비=지역 특성에 알맞고 병에 걸리지 않은 우량종자를 선택하여 재배방법에 따라 알맞은 양을 준비하도록 하며, 소독약제, 전용복합비료 등 각종 자재를 미리 준비토록 한다.보리파종 전에 반드시 종자소독을 실시하여 깜부기병, 줄무늬병 등 종자로 전염되는 병해를 예방토록 하고, 파종기계도 미리 정비ㆍ점검을 하여 적기에 파종이 되도록 한다. △과실수확=과실은 한 나무에서도 열매 달린 위치에 따라 과실의 익음 때가 다르므로 익은 과실만 골라서 여러 차례 나누어 수확하도록 한다.맛이 들지 않은 미숙과를 출하할 경우 소비를 위축시킬 수 있으므로 주의하여 완숙과를 수확하여 포장 규격을 다양하게 하여 출하하도록 한다.신품종 과실은 익음 때를 잘 살펴서 적기에 수확하도록 하고, 크기 색깔별로 선별을 철저히 하여 출하하도록 한다.△과수원 관리=후지 사과는 수확 30일 전에 겉 봉지를 벗긴 다음 5~7일 지나서 속봉지를 벗겨 주도록 한다.봉지는 과실의 온도가 높아진 오후 2~4시경에 벗겨서 햇빛에 과실 껍질이 타는 피해를 방지하도록 한다.봉지를 벗긴 다음에는 나무 밑 땅위에 반사 필름을 깔아 주어 나무의 밑부분에 달린 열매도 색깔이 잘 들도록 해준다.△고추=생육촉진 관리요령은 생육 및 포장상태에 따라 제4종복비를 주기적으로 실시한다. 후기 햇빛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반사필름을 깔아준다.탄저병, 역병, 담배나방, 총채벌레 등 병해충 예찰 및 방제를 철저히 한다. 기상상황에 따라 7~10일 간격으로 농약 안전사용기준을 지켜 방제 실시한다. 병충해 전염차단을 위해 병든 고추 수확후 매몰 및 소각해야 한다.적기 수확으로 수확과수 증대 및 다음 고추 자람 증진, 수확시 진홍색으로 완숙된 과실 적기 수확을 해야 한다.상품성 향상을 위한 효율적인 건조를 실시한다. 열풍건조기의 적정 건조온도는 55~60℃에서 36시간 정도 유지해야 한다.△무·배추=정식시기를 놓친 지역에서는 포장을 준비하고 조속히 정식 실시한다.정식을 실시한 포장은 습해 예방 및 관수 관리를 철저히 한다.웃거름은 생육상황에 따라 정식 후 15일 간격으로 3회 정도 알맞은 양을 주도록 한다.벼룩잎벌레, 진딧물, 무름병 등 병해충 적기 예찰 및 방제를 실시한다. △마늘·양파=난지형 마늘 파종 시기는 9월 하순~10월 상순경이므로 적기에 파종될 수 있도록 마늘 종구, 소독약, 유기물퇴비, 비료등 농기자재를 준비한다.마늘 주아재배를 하는 경우 일반 마늘보다 1주일정도 일찍 파종하고, 파종 후에는 알맞은 토양수분이 유지되도록 관리한다.중부지역의 일찍 파종한 양파 육묘상은 고온 장해 예방, 잘록병 방제, 습해 예방 등을 철저히 하여 우량 묘를 생산한다.△시설채소=촉성재배 시설채소 농가는 보온 자재 개선, 온풍난방기 청소, 지중가온시설 설치 등 겨울철 난방비 절감을 위한 대책 마련을 한다.△화훼=장미 노균병 예방을 위해서는 병에 걸린 잔가지는 모두 제거해 주고, 땅에 떨어진 병든 잎은 모아서 불에 태워 전염원을 없애도록 한다.밤에 장미 잎에 이슬이 맺힐 정도로 습기가 많으면 병 발생이 많아지게 되므로 환기를 잘해 주도록 한다. 따라서 저녁때에 물 주기나 약제 살포를 피하도록 하고, 낮과 밤의 온도차가 심하지 않도록 관리한다.국화의 흰녹병 예방을 위하여 주기적으로 적용 약제를 살포하도록 한다.△버섯재배=가을철 느타리버섯을 재배하는 농가는 균 기르기 과정이 완료되면 품종별 특성을 감안하여 버섯이 발생할 수 있도록 재배사와 배지의 온도를 내려주도록 한다. 환기가 잘 되는 출입문 쪽에서 버섯이 먼저 발생되기 시작하면 균상에 덮은 비닐을 벗겨 주도록 한다.△가을 누에치기 후 뒷정리=가을누에를 치고 난 잠실과 잠구는 청소를 깨끗이 하도록 하고, 잠구류도 잘 말려서 보관하도록 한다.가을누에를 치고 난 뽕나무 가지는 절단하여 부족한 퇴비로 만들어서 사용하도록 한다.<농촌진흥청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