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기적 예찰 통해 적합한 천적과 친환경 자재 활용해야
농촌진흥청 원예특작과학원은 8월 중순 이후 정식한 친환경 무농약, 유기농 억제재배 오이농가에서 해충 피해를 사전에 예방하고 방제할 수 있는 친환경 방제법을 제시했다.일반적으로 오이는 연중 2작기 혹은 3작기로 재배하고 있으며, 8월 중순에서 9월 하순에 정식하는 작형은 ‘억제재배’에 속한다. 올해는 예년과 달리 여름 동안 흐리고 비가 잦아 친환경 오이 재배지에서 해충 방제에 어려움을 겪어 해충 밀도가 지속적으로 상승했기에 8월 중순 이후 정식한 오이 재배지에서 해충 피해가 예상되고 있다. 억제재배 오이에서 많이 발생하는 해충은 목화진딧물, 꽃노랑총채벌레, 목화바둑명나방으로, 이들 3종의 해충은 억제재배 오이에서 정식과 함께 동시에 발생해 피해를 주는데 적게는 20%에서 많게는 30% 이상 피해를 준다. 친환경 무농약, 유기농 오이 재배에서 천적의 효과를 좌우하는 것은 정식 후 어떤 해충이, 언제 발생하는 지를 미리 알아내는 ‘예찰’이다. 목화진딧물과 꽃노랑총채벌레를 예찰하는 방법은 간이 예찰법으로 흰색 종이를 이용한 타락법과 황색 끈끈이트랩을 이용한 유인법이 있다. 목화바둑명나방은 나방류의 예찰에 효과가 우수한 델타형 페로몬 트랩을 활용하면 효과적이다. 친환경 오이재배 시에는 해충의 발생 정도에 따라 천적과 친환경 자재를 적절히 활용하면 피해를 예방함과 동시에 효율적인 방제를 할 수 있다. 오이 정식 후 목화진딧물 발생초기(10마리 내외/50엽당)에 뱅커플랜터(천적유지식물)를 심고, 이후 목화진딧물 밀도가 상승할 때 콜레마니진디벌 번데기(머미)를 2주일 내외의 간격으로 3회 방사하면 효과적이다.
저작권자 © 원예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