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농기원, 토양살균장치 특허 기술이전 산업화 추진
|  | |
| ▲ 기술이전 상호 공동연구 협약체결 | |
|
경상북도농업기술원(원장 농학박사 채장희)에서는 지난 12일 고압스팀기를 이용 토양선충을 90%이상 방제할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농가현장에 조기 보급하기 위하여 (주)팜택21과 관계관 15명이 모여 기술이전에 따른 공동연구협약을 체결한다고 밝혔다.농업기술원에서 개발한 고압스팀기는 시설재배지에 유공관을 40~50cm 정도로 매설한 후 100℃정도의 고압스팀을 유공관을 통해 흡입시키는 방식으로 토양선충은 10분, 기타 토양 병원균은 20분 이내에 90%이상 사멸시킬 수 있는 시설재배지의 토양선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었다고 했다.개발한 고압스팀시스템을 참외재배 농가 현장에 도입하여 시험한 결과 선충피해가 5%이하로 줄어들었으며, 무처리구의 60%이상 발생에 비하여 매우 우수한 결과를 얻어 농약을 처리하지 않고도 토양선충을 방제 할 수 있었다.특히 이번에 개발한 고압스팀기는 유공관 1회 매설로 농작업에 불편없이 매년 스팀소독을 할 수 있으며, 고압 스팀발생기 또한 이동식으로 여러 농가에서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게 제작됐다.또한 토양에 농약을 처리할 경우 토양소독을 위해 20~30일 정도의 시간이 소요 되었으나, 고압스팀시스템을 이용하면 1일 이내에 모든 작업이 완료되었으며, 토양 내 산소의 공급으로 인해 작물의 초기생장 증대되어 수확량이 증가되는 효과도 보였다.농업기술원의 개발 동기는 시설재배 작물은 토양 병해충으로 인하여 품질저하와 생산량 감소가 크며 특히 성주 등 참외재배 단지는 선충의 피해로 최대 90%까지 생산량 감소를 초래한다며, 현재까지 선충 등 토양병해충 방제를 위하여 태양열소독과 화학약제 처리했으나 태양열소독은 효과가 낮았으며, 화학약제는 처리 과정의 어려움과 농약사용량의 증가라는 문제점이 있었다.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번에 경북농업기술원에서 개발한 고압스팀 처리 시스템은 작업의 편의성, 인체의 무해성 및 농약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평가되었다고 밝혔다.경상북도농업기술원 농업환경연구과 최성용과장은 “토양 선충은 시설 재배 지역의 토양병해충으로 작물의 생육저하와 생산물의 품질저하등으로 많은 피해를 준다”며 “앞으로는 작업의 편의성은 물론 농약 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기술로 시설 내 고온 재순환과 심야전력을 이용하여 친환경적 에너지를 이용한 작물별 맞춤형 토양병해충 방제 시스템을 개발하여 농가에 보급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원예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