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추 = 주요 병해충 예방과 방제 역병은 6월 초순부터 발생하며 강우량과 강수일수가 결정적인 발생요인이므로 배수로를 정비하고 이랑을 높여 물이 잘 빠지게 한다.
탄저병은 6월 중하순부터 발생하며, 8∼9월 고온다습한 조건에서 급속히 증가, 병든 과실을 발견 즉시 제거하는 것이 농약을 살포하는 것보다 효과적이다.
담배나방 애벌레 피해를 입은 과실은 연부병에 걸리거나 부패해 낙과함. 적용약제를 살포한다.
총채벌레는 약충, 성충이 모두 기주식물의 순, 꽃 또는 잎을 흡즙하며 황색점착트랩을 설치해 발생량을 예찰하여 발생초기에 방제한다.
△고랭지배추 = 아주심기 1주일 전에는 포장 환경에 견딜 수 있게 관수량을 줄이고 온도를 낮추어 모종을 순화시킨다.
뿌리혹병 예방을 위해 적용약제를 정식 직전 토양 전면 혼화 처리하거나 아주심기 전 해당 약제에 어린 모를 침지하여 사전 예방을 하도록 한다.
칼슘결핍증 예방을 위해 균형 있는 비료주기를 하고 적정한 수분을 유지하며 결핍증상 우려 시 염화칼슘 0.3% 액을 엽면시비한다.
△장마 및 태풍대비 = 사전대책 수분관리는 외부에서 물이 들어오지 않도록 주변 배수로 정비하고 배수가 불량한 과원은 열 중앙에 간이 배수로를 설치한다.
배수로의 경사가 크고 긴 경우는 중간에 집수구를 설치해 유속 감소하고 배수로의 풀을 베어주고 막힌 곳 등 정비한다.
토양관리는 경사지 과원은 짚, 산야초, 비닐 등으로 덮어 토양유실 방지하고 토양개량에 힘써 뿌리 분포를 넓고 깊게 해주어야 한다.
나무관리는 바람이 심한 과원은 주 풍향 방향에 방풍수나 방풍망을 설치하고 방조망이나 구조물이 있는 과원은 나무에 피해가 미치지 않도록 점검한다.
△열과 피해 원인과 경감대책 = 열과 발생 원인은 과실비대기와 수확 전, 가뭄 이후 급격한 수분 흡수(강우)에 의해 주로 발생한다.
사질토양과 뿌리가 깊이 뻗지 못한 나무에서 발생이 심하다.
배의 경우 과피가 얇고 유연한 ‘화산’, ‘신화’, ‘신고’ 등에서 발생이 많다.
열과 발생 예방 대책은 토양물리성 개선으로 수체 생육을 좋게 하고 수세를 안정시킨다.
지상부 합리적 결실 관리를 통한 열과 예방한다. 꽃가루가 충분한 수분수를 재식, 인공수분 등으로 안정 착과유지한다.
조기 적과하되, 주기적으로 병든 과실 등 상품성을 잃은 과일은 적과하고 잎과 열매에 염화칼슘 0.3%액(물 1,000L에 염화칼슘 300g) 2∼3회 살포한다.
△화훼 = 장마 후 고온기 카네이션 관리는 장마 후에 폭염과 다습이 예상되어, 이로 인한 식물의 햇볕 데임 (일소)과 생육 저해 등의 피해 발생 우려한다.
야간 고온(열대야)에 따른 호흡량 증가로 광합성산물 감소, 꽃눈 생성불량, 생육 불량 등 발생 가능하다.
여름철 카네이션 관리는 생육에 적합한 기온은 주간 15∼20℃, 야간 15℃, 근권온도 15∼20℃ 정도로 장마 후의 여름철에 고온으로 품질이 저하된다.
병해충관리는 녹병, 줄기썩음병, 회색곰팡이병 등 방제한다.
△인삼 = 장마철 사전대책은 유기물 함량을 2% 정도로 하여 포장의 적습범위 유지 및 통기성 개량한다.
고랑제초기를 이용하여 배수로를 정비하고 두둑을 높게 유지하고 해가림 시설의 늘어진 피복물을 팽팽하게 유지한다.
작토층 상면에 볏짚 등으로 피복한다.
사후대책은 양수기 등을 이용하여 물을 빼주고 깨끗한 물로 잎에 묻은 앙금을 씻어낸다. 냇가나 강가 인접 포장은 침수 발생 시 새로운 배수로를 조성한다.
6시간 이상 침수된 인삼은 미근이 자라지 않으면 곧바로 수확한다.
■주간날씨와 농사
● 이번 주 농사날씨(’25. 6. 30. ~ 7. 6.) [기상청 발표(’25. 6. 26., 6:00)]
(기온) 아침 기온은 22~25℃, 낮 기온은 27~33℃로 평년(최저기온 20~22℃, 최고기온 26~30℃)보다 조금 높겠음
(강수) 30~7월 1일 수도권과 강원영서에 비가 내리겠고, 30일 오후 경상권과 제주도, 1일 오후 남부지방에 소나기가 내리는 곳이 있겠음
● 이번 주 농사정보(’25. 6. 30. ~ 7. 6.) [농촌진흥청 주간농사정보 제25호]
(벼농사) [본답관리] 이삭 패기 전 40일부터 30일 사이에 중간 물떼기 실시 [집중호우 대비] 논·밭두렁, 제방, 배수로 등 사전점검 및 정비
(밭작물) [장마철 관리] 습해를 받지 않도록 배수로를 깊게 설치 등 사전 정비 [콩] 북주기 작업을 제초와 겸하여 파종 후 30~40일경, 개화 10일 전 실시 [감자] 저온 다습한 조건에서 역병 발생하므로 방제 철저
(채소) [고추] 역병, 탄저병 등 병해충 방제, 장마 대비 배수로 정비 및 지주대 보강 [여름배추] 육묘 시 방충망 피복 및 순화, 뿌리혹병·칼슘결핍증 예방
(과수) [장마대비] 배수로 정비, 경사지 과원 토양유실 방지, 방풍수·방풍망 설치 등 점검 – 침수된 과원 배수로 정비, 흙 앙금은 씻어주고 병든 과실은 제거
(특작) [약용작물] 장마기 침수 시 요소 등 엽면시비를 2~3회 실시, 살균제 살포
<농촌진흥청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