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채소류 농업관측
12월 채소류 농업관측
  • 원예산업신문
  • 승인 2024.12.26 10:1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24년산 겨울배추 초기작황 부진
건고추, 12월 수입량 전년과 비슷 전망

12월 배추·무 가격 전월대비 하락한 것으로 전망되며, 2024년산 건고추 재고량은 전년대비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정보센터 제공

■배추
△출하전망 = 12월 출하량 전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12월 출하량은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2.9%, 3.0% 감소한 것으로 전망되며, 12월 겨울배추 출하량은 초기 작황이 매우 좋았던 전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2024년산 겨울배추 초기 작황 부진하여 12월 출하 비중이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가격전망 = 12월 도매가격 전월 대비 하락한 것으로 전망된다.
상품 12월 도매가격은 7,500원/10kg 내외로 전월 대비 하락, 전년 및 평년 대비 상승한 것으로 전망된다.
향후 기상 여건 및 겨울배추 저장 수요에 따라 상승할 가능성이 보인다.

■무
△출하전망 = 12월 출하량 전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12월 출하량은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18.5%, 13.2% 감소한 것으로 보이며, 가을일반무 및 겨울무 생산량 감소 영향으로 보인다.
△가격전망 = 12월 도매가격 전월 대비 하락한 것으로 전망된다.
상품 12월 도매가격은 21,000원/20kg 내외로 전월 대비 하락, 전년 및 평년 대비 상승한 것으로 전망된다.
12월 중순부터 겨울무 본격 출하로 순별 가격 하락이 전망된다.

■양파
△재배면적 = 2025년산 재배(의향)면적 전년 대비 감소, 평년과 비슷할 것으로 전망된다.
재배(의향)면적은 18,166ha로 전년 대비 4% 감소, 평년과 비슷할 것으로 전망되며, 2024년산 수확기(4~7월) 평균 가격 전년 대비 낮게 형성, 최근 3년간(2022~2024년산) 양파 생육 부진으로 타 작목으로 전환하려는 농가가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육묘 피해 및 정식기 잦은 강우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
조생종은 2,985ha로 전년 및 평년 대비 1% 증가한 것으로 보이며, 중만생종은 15,181ha로 전년 대비 4% 감소, 평년 대비 1%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2025년산 양파 정식 전국적으로 전년 대비 10일 가량 지연, 초기 생육은 양호할 것으로 전망된다.
△가격전망 = 12월 양파 가격 전년 및 전월과 비슷한 것으로 전망된다.
상품 도매가격은 1,200원/kg 내외로 전년 1,200원 및 전월 1,210원과 비슷한 것으로 전망된다.
재고량이 많아 출하량은 전년 대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나, 가격 상황에 따라 출고량 조절되며 가격은 전년 및 전월과 비슷한 수준으로 전망된다.

■마늘
△재배면적 = 2025년산 마늘 재배(의향)면적 전년 대비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재배(의향)면적은 22,681ha로 전년 대비 4%, 평년 대비 6% 감소한 것으로 전망되며, 한지형 4,072ha로 전년 대비 5% 감소, 난지형 18,609ha로 전년 대비 4%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생산비(종구비, 인건비 등) 상승과 고령화 및 노동력 부족, 생산량 감소 대비 낮았던 수확기 (6~8월) 가격 등으로 상대적으로 수익성이 높고 재배 용이한 타 작목 전환 농가가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종자용 마늘 부족(종구 상태 불량 등)과 파종기 기상 여건 악화로 파종시기를 놓쳐 재배를 포기하거나 파종을 다 하지 못한 농가가 발생해 전월 조사치 대비 감소폭이 확대된다.
난지형 품종별 재배(의향)면적은 대서종 전년과 비슷, 남도종 10%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2025년산 마늘 초기 생육 전년과 비슷하거나 양호, 파종시기 전년 대비 10일가량 지연된 것으로 전망된다.(9월 고온과 11월 상순까지 지속된 잦은 강우, 집중호우 영향으로 전작 수확 및 파종 준비 작업 지연 영향)
△가격전망 = 12월 깐마늘 가격 보합세 지속 전망된다.
상품 도매가격은 7,000원/kg 내외로 전망된다. 재고량 감소로 전년 6,820원 대비 높지만, 평년 7,290원 보다 낮고 전월 7,010원과 비슷한 수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건고추
△수입전망 = 12월 수입량 전년과 비슷한 것으로 전망된다.
11월 수입량은 12,291톤으로 전년 대비 감소, 국내산 도매가격 하락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 형태별 수입량(건고추 환산)은 기타소스 6,089톤, 냉동고추 3,903톤, 김치 1,330톤, 건고추 620톤 등이며, 시장 출하가능가격(냉동고추)은 4,700원/600g 내외로 관세 27% 적용, 전년 대비 10% 하락한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 작황은 일부 산지 작황 부진하나, 대체로 전년과 비슷, 2024년산 햇건고추를 저장 중이다. 
12월 수입량 전년 1만 2천 톤과 비슷할 것으로 전망된다.
△가격전망 = 12월 건고추 가격 전년 대비 하락한 것으로 전망된다.
상품 도매가격은 12,800원/600g 내외로, 2024년산 재고량 증가 영향으로 전년 13,520원 대비 하락한 것으로 전망되며, 내년 2월까지 전년 대비 낮은 가격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당근
△출하전망 = 12월 출하량 전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12월 출하량은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16.8%, 13.4% 감소한 것으로 전망되며, 겨울당근 발아율 저하로 인한 재파종 영향으로 성출하 시기 지연되었으며, 작황 또한 부진하여 출하량이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가격전망 = 12월 도매가격 전월 대비 하락한 것으로 전망된다.
상품 12월 도매가격은 63,000원/20kg 내외로 전월 대비 하락, 전년 및 평년 대비 상승한 것으로 전망된다.
겨울당근 작황 부진으로 전·평년 대비 도매가격 상승 전망하나 중순 이후 출하 면적 증가로 순별 가격이 하락한 것으로 전망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