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 신품종 보호권 실시율 3년 전 보다 25% 향상
식물 신품종 보호권 실시율 3년 전 보다 25% 향상
  • 나동하
  • 승인 2024.12.24 19:0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종자원, 2023년도 기준 식물 신품종 보호권 실시 현황조사 결과 발표

국립종자원(원장 직무대리 백운활)은 품종보호권자를 대상으로 2024년 8월부터 11월까지 실시한 ‘품종보호 등록품종의 실시 현황조사(2023년 말 기준)’ 결과를 발표했다. 

실시율 조사는 품종보호 등록품종을 영리적 목적으로 활용하는 실태를 파악하여 품종보호제도의 활성화 및 등록품종의 실용화를 도모하기 위해 3년 주기로 실시하고 있다.

조사 결과 품종보호 등록품종의 실시율은 70.3%(4,801품종)으로 2021년 조사(45.2%) 대비 25% 상승했으며, 이는 공공부문(국가기관, 지자체, 대학·정부출연기관) 실시율이 23~33% 증가한 것이 주요 요인으로 파악됐다.

품종보호권자별 실시율은 법인이 88.3%(974품종)로 가장 높고, 거래유형별로는 통상 실시가 55.9%(2,686품종)로 가장 많았다.

또한 품종보호 등록 후 5년 이내 상업화된 품종이 전체의 47.1%(2,263품종)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전체 실시 금액은 총 7,222억 원으로 조사됐다.

국외 실시 현황은 총 25작물 242품종, 311억 원으로 채소류가 87.6%(14작물 212품종)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주요 국가는 중국(61품종), 일본(20품종), 미국(16품종) 순으로 조사됐다.

특히, 올해는 온라인 조사 시스템을 신규 구축·활용하여 행정 효율성과 민원 편의성을 높였으며, 앞으로도 품종보호권의 활용도를 제고하기 위해 현지실사 강화, 이해관계자 간담회, 홍보 확대 등을 추진 할 계획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