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설채소 = 겨울철 자연재해 대비는 기존규격시설, 내재해형 규격시설, 비규격시설인지 확인 기존규격시설과 내재해형 규격시설의 경우 안전적설심을 확인한다.
사전대책은 지역별 기후 조건에 맞는 품목 선택과 안전 작기 준수 작물‧생육기별 최저한계온도확보, 보온시설 보완, 내한성 품종 선택한다.
사후대책은 정전 등으로 가온 시설을 가동할 수 없을 때는 숯, 알콜 등을 연소시켜 가온, 보온피복 강화, 살균제 및 요소 엽면 살포로 생육 촉진, 피해가 심하면 다른 작물로 대체한다.
△마늘․양파 = 월동 중 수분관리는 토양이 건조하면 양분 흡수 저해 및 동해 우려한다.
토양이 건조하면 찬 공기가 뿌리까지 들어가 얼어 죽기 쉬우므로 따뜻한 날 오전에 물을 주어 태양열에 의한 지온 상승 유도한다.
골에 관수할 때는 물이 골에 차면 바로 물을 완전히 빼주고 습해 유의한다.
본답관리는 배수로를 정비하여 습해 예방, 비닐이 날리지 않도록 고정함. 한지형 마늘은 땅이 얼기 전 12월 중순까지 비닐을 덮는다.
난지형 마늘은 월동 전에 싹이 트기 때문에 뿌리의 활착이 잘 되어야 겨울철에 동해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늦게 심은 양파는 동해 예방을 위해 부직포 및 유공비닐 피복한다.
△과종별 동해 한계온도 및 지속시간 = 저온이 얼마나 오래 지속되느냐에 따라 동해의 정도 차이가 있다.
저온으로 내려가는 속도가 빠를수록 동결 후 해빙 속도가 빠를수록 피해가 심하다.
복숭아는 동해 한계온도 이하의 극저온이 2시간 이상 지속되면 매우 심각한 피해를 받는다.
사과의 동해는 겨울 또는 이른 봄에 저온보다 따뜻한 후 급격한 저온에 의해 더 크게 나타난다.
△과원환경 정비 = 낙엽, 잡초 및 썩은 가지 등은 생육기간에 발생한 병해충의 월동 장소가 되므로 휴면기 경운 작업 시 뒤집어 주거나 태워 병해충의 밀도를 낮춘다.
관수시설은 동파의 우려가 있으므로 내부의 물을 완전히 빼주고 작업도구는 한곳에 모아 둔다.
토양 표면에 덮여있는 반사필름, 부직포 등을 걷어 수관 하부 지열이 차단되지 않도록 한다.
△동해피해 예방 대책 = 신규 개원은 과종별로 동해 우려 없는 안전재배 지대에 재식한다.
품종선택은 내한성 강한 품종 식재한다.(품종에 따라 내한성 정도가 다름) 경사지는 추위에 약한 품종은 경사지 위쪽, 강한 품종은 낮은 쪽에 재식한다.
배수 불량한 논 전환 과원은 암거 및 명거 배수시설 설치한다. 주간부 피복은 대목 및 주간부를 지면에서 1m 방한 조치한다.
냉기 유입차단은 냉기 유입 차단 및 방향 조절한다.(방풍림, 방풍망 설치)
△화훼 = 국화 겨울철 관리는 생산을 위한 작형은 충분한 전조와 차광재배를 끝낸 후, 온실 내 적정한 일장과 온도와 같은 환경관리를 통해 꽃 수확한다.
생리장해는 꽃대가 미숙 꽃눈이 되는 현상으로 적절한 일장을 유지하고 지나친 고온 및 저온 회피, 건전 모주 양성과 영양조건을 관리해 준다.
노심현상은 꽃의 중심부에 관생화가 많이 형성되고 꽃잎의 신장이 억제되어 관상화가 노출되는 현상이다.
수곡현상은 전조 억제 재배에서 꽃목이 한쪽 방향으로 굽거나 정화의 꽃목과 액아의 꽃목이 붙은 방향으로 휘는 증상이다.
△인삼 = 포장 관리는 월동 전 배수로 정비로 적절한 토양 수분 관리한다.
겨울철 토양 수분이 과다하면 이른 봄에 서릿발에 의해 뇌두가 손상되고, 이 부위에 잿빛곰팡이병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주의한다.
본밭에서는 고랑 흙으로 두둑 위를 덮어준다.
복토를 하면 온도 유지 및 보습의 효과뿐만 아니라 조기 발뇌 피해와 염해 피해를 경감시킬 수 있다.
해가림 시설 관리는 표준 규격 자재 사용과 표준 해가림 설치로 폭설 피해 예방한다.
폭설 피해 예방을 위한 월동기 차광망을 걷는다.
■주간날씨와 농사
● 이번 주 농사날씨(’24. 12. 16. ~ 12. 22.) [기상청 발표(’24. 12. 5., 6:00)]
(기온) 아침 기온은 -9~3℃, 낮 기온은 1~10℃로 평년(최저기온 -8~2℃, 최고기온 3~10℃)과 비슷하겠음.
(강수) 16~18일은 제주도에 비가 오는 곳이 있겠음.
● 이번 주 농사정보(’24. 12. 16. ~ 12. 22.) [농촌진흥청 주간농사정보 제51호]
(벼농사) [볍씨 준비] 지역 적응품종 중 품종 특성을 고려하여 재배 안정성이 우수한 고품질 품종 확보, 보급종 공급 일정 확인 후 신청 [농기계 보관] 겨울철 농기계 관리(전용 창고 보관, 오일, 냉각수 등 점검·관리)
(밭작물) [보리·밀] 습해와 동해 예방을 위한 배수로 설치 및 답압 실시 [감자 시설재배] 남부지방에서 가을재배로 채종한 품종은 실온 보관하여 휴면기간 단축
(채소) [시설채소] 최저 한계온도 확보, 육묘 관리, 자연재해 대비 안전적설심 확인 등 [마늘‧양파] 배수로 정비, 비닐 고정, 따뜻한 날 오전에 물을 주어 지온 상승 유도
(과수) [과원 정비] 낙엽·잡초 등 병해충 월동 장소 제거, 관수시설 물빼기 등 [동해 예방] 신규 개원은 과종별로 동해 우려 없는 안전 재배 지대 재식
(특작) [인삼] 폭설 대비 표준 규격 자재 사용, 차광망 걷기, 배수로 정비 등
<농촌진흥청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