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고추 생산량 평년대비 6% 상승
김장철 배추·무 가격 전월대비 하락한 것으로 전망된다. 2024년산 건고추 생산량은 전년대비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정보센터 제공
■배추
△출하전망 = 11월 순별 출하량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11월 출하량은 전년 및 평년대비 각각 5.6%, 4.2% 감소하나, 순별로 증가한 것으로 전망되며 생육 초기 고온으로 가을배추 초기 작황 부진하나 기상여건 호전, 약제 지원 등 생육 회복중이며, 출하지가 확대되면서 순별 출하량이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가격전망 = 11월 도매가격 전월대비 하락한 것으로 전망된다.
11월 상품 도매가격은 8,000원/10㎏ 내외로 전월대비 하락, 전년 및 평년대비 상승한 것으로 전망된다. 김치업체 등 대량수요처 수요에 따라 가격 변동이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무
△출하전망 = 11월 순별 출하량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11월 출하량은 전년 및 평년대비 각각 17.7%, 7.6% 감소, 순별로 증가한 것으로 전망되며, 가울일반무 생산량 감소로 출하량이 줄었으나, 11월 중순부터 가을일반무가 본격 출하되면서 순별 출하량은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가격전망 = 11월 도매가격 전월대비 하락한 것으로 전망된다.
11월 상품 도매가격은 17,000원/20㎏ 내외로 전월대비 하락, 전년 및 평년대비 상승한 것으로 전망된다. 11월 중순부터 가을일반무 본격 출하로 순별 가격은 하락한 것으로 전망된다.
■건고추
△생산전망 = 2024년산 건고추 생산량 전년 대비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예상 단수(10월 말 기준)는 232kg/10a로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5%, 7% 증가한 것으로 전망되며, 끝물 수확량 증가 영향으로 전월 대비 증가폭이 1%p 확대된 것으로 전망된다.
2024년산 건고추 예상 생산량은 6만 1천 톤으로 전년 대비 2% 증가, 평년 대비 9% 감소한 것으로 전망되며, 10월 말까지 94% 농가 수확 마무리, 11월 종료한 것으로 보인다.
△가격전망 = 11월 건고추 가격 전년 대비 하락한 것으로 전망된다.
상품 도매가격은 13,000원/600g 내외로, 2024년산 생산량 증가 영향으로 전년 13,530원 대비 하락한 것으로 전망된다.
■양파
△재배의향 = 2025년산 재배(의향)면적 전년 대비 감소, 평년과 비슷할 것으로 전망된다.
재배(의향)면적은 18,299ha로 전년 대비 3% 감소, 평년과 비슷한 것으로 전망되며, 2024년산 수확기(4~7월) 평균 가격 전년 대비 낮게 형성, 최근 3년간(2022~2024년산) 양파 생육 부진으로 타 작목으로 전환하려는 농가가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조생종은 3,033ha로 전년 대비 2%, 평년 대비 3% 증가한 것으로 보이며, 중만생종은 15,266ha로, 전년 대비 4% 감소, 평년과 비슷한 것으로 전망된다. 정식 진행률(10월 말 기준)은 55%, 정식기 잦은 강우로 전년 동기(59%) 대비 5~10일 지연된 것으로 예상된다.
△가격전망 = 11월 양파 가격 전년 대비 소폭 상승한 것으로 전망된다.
상품 도매가격은 1,200원/kg 내외로 전년 1,150원 대비 소폭 상승한 것으로 전망되며, 재고량이 많아 국내산 출하량 전년 대비 증가하나, 수입량 감소로 전체 공급량은 전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마늘
△재배의향 = 2025년산 마늘 재배(의향)면적 전년 대비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재배(의향)면적은 22,825ha로 전년 대비 3%, 평년 대비 5% 감소한 것으로 전망되며, 한지형 4,116ha로 전년 대비 4% 감소, 난지형은 18,709ha로 전년 대비 3%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생산량 감소에도 수확기 가격 상승폭 높지 않고, 생산비 상승(종구비, 인건비 등)과 노동력 부족 등으로 상대적으로 수익성이 높고 재배 용이한 타 작목으로 전환하려는 농가가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난지형 품종별 재배(의향)면적은 대서종은 전년과 비슷, 남도종은 9% 감소한 것으로 보이며, 남도종 주산지인 제주, 전남지역은 생리장해(2차 생장 등) 발생으로 인한 농가수취가격 하락, 농가 고령화 등으로 작목 전환 또는 휴경 의향 높아 타 품종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폭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가격전망 = 11월 깐마늘 가격 보합세 지속 전망된다.
상품 도매가격은 7,100원/kg 내외로 재고량 감소로 전년 6,830원 대비 높지만, 평년 7,300원 보다 낮은 수준으로 전망된다.
■당근
△출하전망 = 11월 출하량 전년대비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11월 출하량은 전년 및 평년대비 각각 4.7%, 13.8% 감소한 것으로 전망되며, 여름당근 생산량 감소 및 가을당근 작황 부진과 겨울당근 출하 지연으로 전년대비 출하량이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가격전망 = 11월 도매가격 전월대비 하락한 것으로 전망된다.
11월 상품 도매가격은 60,000원/20㎏ 내외로 전월대비 하락, 전년 및 평년대비 상승한 것으로 전망된다. 출하량 감소로 전년대비 상승하나, 겨울당근 출하시기에 따라 상승폭 변동이 가능한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