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예인 新農直說 - 깍지벌레 해결 방법 연구 필요
원예인 新農直說 - 깍지벌레 해결 방법 연구 필요
  • 원예산업신문
  • 승인 2024.09.11 11:33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배 봉지 파고 들면 피해 확산

주로 알과 애벌레 형태로 거친 껍질과 가지 절단부에서 겨울을 난 뒤, 잎자루와 꽃자루 틈, 가지 절단 부위 등으로 이동해 세대를 시작하는 깍지벌레는 초기에 발견하면 방제가 가능하지만 배 봉지 속으로 들어가면 수확할 때까지 확인하기도 어렵다. 깍지벌레의 유입을 막기 위해 밤새도록 농원을 일일이 다 찾아다닐 수 없는 노릇이여서 한 번 발생하면 답답하다.

예방을 위해 해충약을 살포하더라도 농약허용기준강화제도로 약제가 약해지고 깍지벌레의 내성이 생기면서 100% 살충은 어려운 상황이다. 매일 자식처럼 돌보고 아끼며 사랑으로 키운 농산물이 피해를 입을 때마다 마음이 아프다.

최근 들어 깍지벌레 등의 해충피해가 늘어나면서 정확한 해충의 박멸과 확인방법이 필요한 상황이다.

■최운영<연암농장 대표>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제천 효성농원 2025-04-09 08:30:06
유충박멸제가 필수입니다. 깍지벌레 완전 박멸을 위해선요.
과수에 이제까지 정말 많은 살충제 뿌려봤지만 깍지가 잘 없어지지 않더군요.
자세히 살펴보니 약제를 피해 나무 밑둥이나 흙 속으로 깍지가 숨어있다
약제 효과가 없어질 때 쯤 다시 기어올라오는 현상을 발견했습니다.
그래서 유충박멸제를 나무 밑에 적당히 뿌린 후 섞어주고
방제를 실시했더니 그 다음부터 눈에 띄게 없어졌어요.
많은 분들이 모르시는 것 같아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