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작물 재해보험·정부 복구 지원 체계 한계 뚜렷
농작물 재해보험·정부 복구 지원 체계 한계 뚜렷
  • 권성환
  • 승인 2024.09.11 11: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재해보험 완전 망해야 받는 수준 … 정부 지원 자부담 높아 실효성 의문
미국 대재해보험 벤치마킹 … 기초보험 상품 도입해야
이상기후로 피해를 입은 양파밭 모습.
이상기후로 피해를 입은 양파밭 모습.

올해 초 갑작스러운 폭우와 일조량 부족 등으로 인한 농작물 피해가 속출했지만, 현행 농작물 재해보험과 정부의 복구 지원만으로는 피해 복구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전남연구원(원장 김영선) ‘JNI 이슈리포트-이상 강우 현상에 따른 도내 주요 농산물 영향 및 제도 개선방안’에 따르면, 올해 2월 전남 지역은 지난 20년 동안 유례없는 강수량(134.59mm)과 최저 일조율(34.96%)을 기록하며 주요 농작물에 큰 피해를 주었다.

특히 양파, 마늘 등 노지 재배작물은 생육이 지연되고 잎마름 증상과 벌마늘(2차 생장) 현상이 나타나며, 주요 시설재배 작물인 딸기와 방울토마토도 잿빛곰팡이병 등 병해로 인한 수확량 감소가 이어졌다. 또한, 멜론과 파프리카 등 다른 시설 재배 작물들도 광합성 부진 및 생리장해로 인해 생산량이 크게 줄었다.

정부는 이러한 피해를 농업 재해로 인정하고 피해 농가에 약 2,261억 원의 재해복구비를 지원할 계획이지만, 농가 자부담 비율이 높아 지원의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현재 재해복구비 중 농약대는 100% 지원되지만, 대파대와 입식비는 50%, 농업시설 복구는 35%만 보조돼 농가가 상당한 비용을 부담해야 하는 구조다.

또한, 현행 농작물재해보험 약관에 따르면, 시설재배 작물의 일조량 감소 피해는 기타 재해로 분류돼 피해율이 70% 이상일 경우에만 보상되며, 전체 작물 재배를 포기해야만 보험금이 지급된다. 이로 인해 70% 미만의 피해를 입은 다수의 농가는 보상을 받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이다. 일부 농가들 사이에서는 '완전히 망해야 보상을 받을 수 있다'는 불만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에 전남연구원의 김현희·윤영석 부연구위원은 자부담이 없는 기초보험 도입, 농업재해지역 및 농작물재해보험의 보장 수준 확대, 일조량 저하에 따른 병해 피해 인정 등의 제도 개선 방안을 제시했다. 특히 미국의 대재해보험(CAT) 제도를 벤치마킹해 모든 농가가 자연재해로 인한 수확량 감소 위험을 관리할 수 있는 기초보험 상품을 도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부연구위원은 “기후변화와 농업의 관계는 앞으로도 중요한 사회적 이슈로 떠오를 것”이라며, “보험금 지급 기준을 적정 수준으로 하향 조정하고, 일조량 저하로 인한 병해 피해를 보장하는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