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사포인트
농사포인트
  • 원예산업신문
  • 승인 2024.07.30 20: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고추, 지속적 관수도 수분유지·석회 결핍 예방
고랭지 배추·무, 무름병 대비 1주 간격 약제 살포

△고추 = 고온기 피해는 고온, 수분부족으로 호흡량 증가, 광합성 감소, 양분흡수 및 물질전류 등으로 식물체 연약, 생장억제, 생장점 부위 위축된다.
토양 수분 관수시설(점적, 스프링클러) 활용 지속적 관수로 수분유지와 석회 결핍 예방한다.
바이러스 매개충은 예방 위주로 진딧물, 총채벌레를 방제하고 특히 총채벌레는 어린 꽃을 가해하여 열매․잎이 기형이 되며 고추 끝이 목질화되는 등 품질을 저하시키므로 적용약제로 방제한다.
웃거름 제때 알맞은 양을 주되 너무 많이 주지 않도록 주의한다. 점적관수가 설치된 포장은 800~1,200배의 물비료를 만들어 준다.
적기수확은 풋고추나 홍고추는 용도에 따라 적기 수확한다.

△고랭지 배추‧무 = 고온(30℃ 이상)과 가뭄이 2주일 이상 지속되면 생체중이 현저하게 떨어지며, 결구 불량, 석회결핍증, 무름병 등 발생한다.
무름병 정식 후 25일 이후 발생이 심해지며 발생된 이후에는 치유가 불가능하므로 1주 간격으로 예방적으로 약제 살포한다.
석회결핍은 적절한 관‧배수로 토양 건조 예방, 우려될 경우 특히 결구기 염화칼슘 0.3%액 등 칼슘제제를 5일 간격 3회 엽면시비한다.

△집중호우 대비 과원 관리요령 = 집중호우로 인한 침수 피해 양상은 집중호우로 인한 침수 피해는 하천 주변의 저지대에서 주로 발생한다.
유속이 빠를 경우 토양 침식과 나무의 쓰러짐을 일으키고, 유속이 느릴 경우 부유물질이 과수원에 쌓이는 피해가 발생한다.
왜화도가 큰 대목일수록 내수성이 약하여 침수 시 피해가 커진다. 침수나 집중호우로 인해 나무의 저항성이 약해지고, 병원균의 급속한 전파로 병해충 발생이 증가한다.
집중호우로 인한 사후관리 요령은 쓰러진 나무는 땅이 젖어 있을 때 건강한 뿌리가 끊어지지 않도록 즉시 일으켜 세우고 뿌리 주변에 흙을 채운 후 예취한 풀로 덮어주고 지지대로 고정한다.

△고온기 과원관리 = 고온 지속 시 예상 피해는 지속되는 폭염으로 인한 과실·잎·가지의 햇볕 데임 피해, 야간 고온(열대야)에 따른 호흡량 증가로 광합성 산물 감소, 과실비대 및 당도 저하, 꽃눈 생성 불량, 착색 지연 현상 발생 등이다.
햇볕 데임 발생원인은 식물은 강한 햇볕이나 고온, 건조 등 강한 스트레스를 받으면 세포에 유해한 활성산소가 발생한다.
잎은 폴리페놀 등 항산화효소가 있어 활성산소를 제거하므로 피해 적다.
햇볕 데임 증상은 나무의 남서쪽 방향에서 많이 발생하며, 여러 날 동안 구름이 끼거나 서늘하다가 갑자기 강한 빛을 받을 때 증가한다.

△화훼 = 포인세티아(Euphorbia pulcherrima Willd.) 특징은 멕시코 원산의 관목으로 기독교 문화가 도입되기 전부터 멕시코 인디언들에 의해 포엽은 붉은색 염료의 원료로, 수액은 해열제로 원료로 이용한다.
포인세티아의 특성은 꽃으로 알고 있는 붉은 부분은 꽃이아니라 포엽으로, 단아하고 아름다운 생김새의 꽃을 피우며, 붉은색․분홍색․흰색 등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인삼 = 고온장해는 장기간(7일 이상) 30℃ 이상 고온 지속 시 발생하며, 잎반점병이 유발되고 조기 낙엽이 발생한다.
본포관리는 두둑 높이가 고랑에 흙이 쌓여 30㎝ 이하로 낮아진 포장은 고랑 흙을 파서 두둑 양측 면에 붙여 배수를 촉진시킨다.
개갑관리는 개갑에 적당한 온도는 15~20℃임. 온도가 20℃ 이상 높아지면 개갑 불량으로 부패율이 높아지므로, 9월 중순까지 1일 2회(아침·저녁), 차가운 물(지하수 등)로 관수한다.

△약용작물 = 구기자 삽식한 해부터 열매가 익는 대로 수시로 수확하며 기계수확기를 이용하면 수확 노력을 절감할 수 있다.
수확한 구기자는 깨끗한 물로 흙과 오염물질 제거 후, 성숙과와 미숙과로 선별한다.

■주간날씨와 농사
● 이번 주 농사날씨(’24. 7. 28. ~ 8. 4.) [기상청 발표(’24. 7. 25., 6:00)]
(기온) 아침 기온은 24~28℃, 낮 기온은 29~36℃로 평년(최저기온 22~25℃, 최고기온 29~33℃)과 비슷하거나 조금 높겠음.
(강수) 28일 오후 전국(강원영동, 제주도 제외)에 소나기가 오는 곳이 있겠음. 29일~8월 1일은 수도권과 강원영서에 비가 오겠음.
● 이번 주 농사정보(’24. 7. 29. ~ 8. 4.) [농촌진흥청 주간농사정보 제31호]
(벼농사) [본답관리] 이삭 생길 때부터 팰 시기까지는 환경에 민감하므로 물 관리 철저 [병해충 관리] 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먹노린재 예찰 및 적용약제 방제
(밭작물) [콩] 콩의 생육상황 고려하여 웃거름 주기(개화기, 비대기 종실 불량 시 유안 4~6㎏/10a 시용) [참깨] 참깨 2모작에서는 역병과 잎마름병 위주의 중점 방제 실시
(채소) [고추] 고온기 지속적 관수로 수분 유지 및 석회결핍 예방 [고랭지 배추·무] 고온이 지속되면 정식 25일 이후 무름병 발생이 심해짐으로 1주 간격으로 예방적 약제 살포함 [마늘·양파] 씨마늘 준비, 양파 조생종 가을뿌림 재배 8월 중순~하순 파종
(과수) [고온기 과원관리] 31℃ 넘으면 미세살수 장치 가동, 적기 물주기, 가지 유인 등 햇볕데임 피해 정도가 심하지 않으면 수세안정 위해 늦게 제거하고 피해 심하면 바로 제거
(특작) [약용] 구기자는 열매가 익는 대로 수시로 수확 해주고, 열풍 건조한 경우는 열매 크기에 따라 건조 온도와 시간을 준수함

<농촌진흥청 제공>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