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어업위, ‘농어촌 삶의 질 지수’ 전국 순위 발표
농어촌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보건·복지 등 분야의 개선이 시급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위원장 장태평, 이하 농어업위)는 지난 5일 충남 청양에서 열린 제21차 본회의에서 전국 139개 농어촌 지자체를 대상으로 한 ‘삶의 질 지수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발표는 농어촌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며, 농어촌과 도시 간 격차 해소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농어업위가 발표한 농어촌 삶의 질 지수는 경제, 보건·복지, 문화·공동체, 환경·안전, 지역활력 등 5개 영역과 20개 지표로 구성됐으며, 계층화 분석법(AHP)을 통해 지표별 가중치를 부여해 산출됐다. 이번 지수는 전문가들로 이뤄진 ‘농어촌 삶의 질 지수관리위원회’의 검증을 거쳐 신뢰성을 높였다.
농어업위는 인구 50만 이상의 도시화된 10개 지역을 제외한 129개 농어촌 시·군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농어촌 군' 79개와 ‘도농복합시' 50개로 구분해 상위 20% 지역을 공개했다. '농어촌 군'의 경우, 울릉군이 54.73점으로 1위를 차지했으며, 이어 옹진군(50.98점), 청양군(49.30점), 인제군(47.23점), 양구군(46.81점)이 뒤를 이었다. 울릉군은 전 영역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았으며, 특히 경제영역에서 83.05%의 고용률을 기록해 1위를 차지했다. 보건·복지와 지역활력에서도 높은 점수를 받아 전반적으로 우수한 성과를 보였다.
‘도농복합시'에서는 이천시가 59.32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기록했으며, 광양시(57.65점), 아산시(56.55점), 계룡시(54.60점), 파주시(54.59점)가 뒤를 이었다. 이천시는 1인당 지역내 총생산(GRDP)과 재정자립도에서 우수한 성과를 보였으며, 청년 인구 비율이 높아 지역활력 영역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았다.
농어촌 군지역 79개와 도농복합시 지역 50개 지역은 도시화된 10개 지역에 비해 문화·공동체는 우수했으며, 환경·안전은 비슷한 수준이었다. 그러나 보건·복지와 지역활력은 큰 격차를 보였다. 또한 경제 분야는 지역 특성에 따라 전체 유형의 편차가 심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농어촌 지역은 도시형 지역보다 우수한 문화·공동체의 자원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소득원 개발 등과 접목할 필요가 있으며, 경제는 지역별로 기업유치 등의 노력이 필요해 보인다. 보건·복지와 지역활력은 농어촌 지역이 매우 열악한 분야로 이에 대한 적극적인 개선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됐다.
농어업위는 이날 청양, 홍성, 진안 사례를 통해 농어촌 지역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적 노력을 공유했다. 청양군은 민관 푸드플랜 추진체계를 통해 농가소득을 향상시키고, 융복합형 고령자 복지주택을 건립해 보건·복지 향상에 기여했다. 홍성군은 ‘홍성통’ 거버넌스를 통해 문화·관광·공동체 활동을 활성화했으며, 치유농업과 사회적 농업을 확산해 사회적 가치를 높였다. 진안군은 빈집재생 정책과 5대 안전 분야 정책을 통해 환경·안전 영역에서 우수한 결과를 얻었다.
장태평 농어업위원장은 “우리 농어촌의 삶의 질 수준이 인구 50만 이상 지방 도시와 비교할 때 격차가 심하다”며, “이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또한 “농어촌 삶의 질 지수 발표는 삶의 질에 초점을 맞추는 정책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농어업위는 앞으로도 농어촌 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농어업위는 앞으로도 농어촌 상황에 맞는 지수의 고도화, 정책 확산, 법적 기반 마련 등을 통해 농어촌 삶의 질을 체계적으로 향상시킬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