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설채소 수경재배 시설 침수시 소독 및 전염원 차단
△고랭지 배추‧무 = 장마피해 사후대책은 침식이 심하지 않을 경우에는 흙으로 채우고 계곡침식일 경우 더 진전되지 않도록 부직포를 설치한다.
토양유실과 함께 비료 성분이 용탈되기 때문에 물이 빠진 후 웃거름 시용, 생육불량 시 요소 0.3%액 또는 4종 복합비료 엽면 시비한다.
석회결핍은 생육기 중 결핍증상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으면 결구 초기에 염화칼슘 0.3%액을 5일 간격으로 3회 정도 잎에 살포한다.
뿌리혹병은 예방을 위해 적용약제를 정식 직전 토양 전면 혼화 처리하거나 아주심기 전 해당 약제에 묘를 침지하여 사전 예방한다.
무름병은 매년 발생하는 포장은 2~3년 동안 돌려짓기, 균형 시비하며, 약제 방제는 5~6잎 이후, 7~10일 간격으로 지제부까지 살포한다.
△시설채소 = 장마피해 사후대책은 피복재의 흙 앙금 및 오물은 깨끗한 물로 세척하여 광 투과성 유지하고 손상된 피복재는 철거 후 새 비닐로 교체하여 다음 재배작물 준비한다.
수경재배 시설이 침수 시 깨끗한 물로 씻은 후 반드시 소독한다. 침․관수 피해가 심하거나 병든 식물체는 조기에 제거하여 전염원 차단한다.
경미한 피해를 받은 포장은 분무기나 호스를 이용 깨끗한 물로 씻은 후 적용약제를 신속히 살포하여 병해충 방제한다.
배수로를 재정비, 쓰러진 포기 일으켜 세우기, 북주기 실시하고 호우피해 이후 햇빛이 강할 때는 차광망을 설치하여 일사피해 예방한다.
△장마 및 태풍대비 = 사전대책 수분관리는 외부에서 물이 들어오지 않도록 주변 배수로 정비하고 배수 불량원은 열 중앙에 간이 배수로를 설치한다.
배수로의 경사가 크고 긴 경우는 중간에 집수구를 설치 유속 감소하고 배수로의 풀을 베어주고 막힌 곳 등 정비한다.
토양관리는 경사지 과원은 짚, 산야초, 비닐 등으로 덮어 토양유실 방지하고 토양개량에 힘써 뿌리 분포를 넓고 깊게 해주어야 한다.
나무관리는 바람이 심한 과원은 주 풍향 방향에 방풍수나 방풍망을 설치하고 방조망이나 구조물이 있는 과원은 나무에 피해가 미치지 않도록 점검한다.
사후대책은 토양이 유실된 과수원은 뿌리가 마르지 않도록 조기에 흙으로 채워주고 복구가 어려운 과원은 재개원을 고려한다.
토사가 쌓인 과원은 토사를 빨리 제거하고, 유기물이 많이 쌓인 과원은 시비량을 줄인다.
△장마후 병 방제 = 사과 겹무늬썩음병은 장마기 비산된 포자는 과실 감염의 주원인이 되며, 겹무늬썩음병 포자는 25∼35℃ 범위에서 8시간 동안 과실 표면이 젖어있으면 100% 발아한다.
발아된 포자의 과실 감염과 직접 관련된 부착기 형성률을 보면 30℃에서 8시간 습윤상태가 지속될 때 55%의 포자가 부착기를 형성하게 된다.
복숭아 잿빛무늬병은 7월 고온 및 잦은 강우로 습도가 높아지면 다발생 우려한다.
병원균은 토양이나 병든 과실 또는 나뭇가지의 이병 부위에서 월동하여 자낭포자나 분생포자가 꽃이나 과실에 침입하여 피해를 준다.
△화훼 = 카네이션 장마 후 고온발생시 예상 피해는 장마 후에 폭염과 다습이 예상되어, 이로 인한 식물의 햇볕 데임 (일소)과 생육 저해 등의 피해 발생 우려한다. 야간 고온(열대야)에 따른 호흡량 증가로 광합성산물 감소, 꽃눈 생성 및 생육 불량 등 발생 가능하다.
△인삼 채종관리 = 인삼은 보통 3~4년생에서 1회 채종을 원칙으로 하며 4년근 수확을 목적으로 한 경우는 3년생에서 채종하고, 5~6년근 수확을 목적으로 한 경우에는 주로 4년생에서 채종한다.
인삼 열매는 지역과 그 해 기온에 따라 채종시기가 다르며, 일반적으로 7월 초순~하순까지 채종한다.
채종 종자는 과육을 제거하고, 물에 1일 정도 담가 두었다가 꺼내 1일간 그늘에 말린 후 체로 4mm 이상의 종자를 선별해서 사용한다.
■주간날씨와 농사
● 이번 주 농사날씨(’24. 7. 7. ~ 7. 14.) [기상청 발표(’24. 7. 4., 6:00)]
(기온) 아침 기온은 21~26℃, 낮 기온은 26~32℃로 평년(최저기온 20~23℃, 최고기온 26~30℃)과 비슷하거나 조금 높겠음.
(강수) 전국에 비가 오겠으나, 8일 제주도에는 비가 소강상태를 보이겠음.
● 이번 주 농사정보(’24. 7. 8. ~ 7. 14.) [농촌진흥청 주간농사정보 제28호]
(벼농사) [본답관리] 벼 이삭이 생기는 시기부터 팰 때가지 논물 걸러대기 실시 [병해충방제] 먹노린재, 도열병 등 병해충 수시 예찰 및 적기 방제 [집중호우 대비] 논·밭두렁, 제방, 배수로 등 사전점검 및 정비
(밭작물) [장마철 관리] 습해를 받지 않도록 배수로를 깊게 설치하는 등 사전 정비 [콩·옥수수] 콩은 흙덮기로 생육 촉진, 옥수수는 이른 아침 수확 실시
(채소) [고추] 고온성 병해, 바이러스 매개충 사전방제, 장마 대비 관리 철저 [고랭지 배추·무] 석회 결핍, 뿌리혹병, 무름병 등 사전 예방 약제 살포
(과수) [장마·태풍대비] 배수로 정비, 경사지 과원 토양유실 방지, 방풍수·방풍망 등 점검 [장마 후 병 방제] 사과 겹무늬썩음병(25~35℃, 8시간), 갈색무늬병(16~28℃) 발병, 복숭아 잿빛무늬병(7월 고온, 강우), 포도 노균병(22∼24℃, 습도 95%) 발병 주의
(특작) [인삼채종] 7월 초~하순까지 홍숙된 열매만 골라 채종하고, 채종종자는 체를 이용해 4㎜ 이상의 종자를 선발하여 사용함
<농촌진흥청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