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 방치될 경우 하락폭 더욱 가팔라질 것”
오는 11월 일몰 예정인 인삼 수매자금 금리인하를 지속 연장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인삼농협이 정부를 대신해 인삼 수급 조절을 하고 있지만 수매 금리는 2.5%로(현재는 한시적으로 1.5%) 시중금리와 다를 것 없이 높아 부담이 높기 때문이다.
최근까지 이어진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소비부진과 생산비는 날이 갈수록 폭등하고 있는 것에 반해, 인삼 가격은 내리막길로 치닫고 있어 정부차원의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인삼은 기호식품으로 경기불황에 가장 먼저 타격을 받고 있다. 농협경제지주에 따르면, 지난해말 기준 전국 11개 인삼농협 인삼 재고액은 2,100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재고가 연 2.5%의 금리를 적용하면 상당한 금액이 된다. 뿐만 아니라, 수매 비축을 위한 창고, 신선도 유지비용 등을 합산하면 인삼농협 운영에 부담이 가중될 수 밖에 없다.
이에 국민의힘 박형수(경북 영주·영양·봉화·울진) 의원은 지난해 10월 기획재정부·농림축산식품부와 협의해 인삼 수매자금 금리를 1년간 한시적으로 1% 인하했지만, 일몰을 코앞에 두고 있는 상황이다.
강화인삼농협 황우덕 조합장은 “가격 폭락, 생산비 폭등 등의 영향으로 인삼 농가들은 줄도산 위기에 처한 상황이다”며 “현재 RPC의 벼수매자금 금리는 1%이고 축산기금은 0.5%인 만큼 현재 한시적이게 인하된(2.5%→1.5%) 인삼 수매자금 금리를 지속 연장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동경기인삼농협 윤여홍 조합장은 “인삼은 다른 작물에 비해 저장 기간이 길고, 창고 대여 등 추가 비용이 발생하고 있어 부담이 되는 실정이다”며 “가공하는 기간도 5년 이상이 걸리는데 제조·가공 하는 기간만이라도 이자율 부담을 낮춰줘야 한다”고 말했다.
농협 관계자는 “정부는 인삼농협이 농가와 계약재배 해 재고로 보유하는 것이 인삼 수급조절에 크게 기여 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며 “재고로 보유하지 않고 시장에 방치될 경우 가격 하락폭은 더욱 가팔라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