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계전정시 과수원 출입용 신발·작업복 외부활동용과 구별 사용
△고추 = 육묘 중기는 본잎이 2~3매 정도 나와 묘가 왕성하게 발육하는 단계로 균형적인 생육을 하도록 하기 위해 광합성을 촉진하고 양분전류가 합리적으로 일어나도록 관리해야 한다.
햇빛이 부족하게 되면 과실이 달리는 마디 부위가 상승하고 꽃수가 감소하며 꽃의 소질이 떨어지므로 육묘기간 중 햇빛을 충분하게 받도록 해 주어야 한다.
보온 위주로 관리하면 고온장해가 발생하기 쉬우므로 환기관리 중요하다.
저온기에는 물을 조금씩 자주 주는 것보다 한번에 뿌리 밑까지 젖도록 주어야 온상 내의 온도가 내려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육묘 중 저온피해를 받았을 경우 응급처치로 요소 0.3%(물 20ℓ당 요소 60g) 액을 잎에 뿌려주어 생육을 회복시킨다.
△딸기 = 과실수확은 주간온도는 25℃ 내외, 야간온도는 5~6℃ 정도로 관리하고 낮 동안에 고온이 되면 과실이 물러질 수 있으므로 환기에 주의한다. 2월 이후 온도가 높아지면 신맛이 증가하므로 충분한 영양관리와 적절한 환기가 필요하다.
주요 병해충은 흰가루병 15∼28℃에서 많이 발생하고 32°C 이상의 고온에서는 발생 억제, 흰가루 포자형성된다.
일조부족, 밤낮의 기온차가 클 때 발생 높음, 예방적 방제, 환기, 관수에 주의한다.
응애는 잎이 누렇게 변하여 말라죽게 되고 생육을 억제한다. 세대 기간이 짧아 연간 발생 횟수가 많고 증식률이 높음, 적용 약제를 이용하여 발생 초기에 방제한다.
△묘목 심기 = 묘목은 낙엽이 진 후 땅이 얼기 전에 심는 가을심기와 이듬해 봄에 땅이 풀린 다음 심는 봄 심기가 있다.
겨울이 춥고 건조한 지역에서는 가급적 봄에 심는 것이 언 피해 등을 줄일 수 있다.
봄 심기는 뿌리가 활동하기 이전인 이른 봄에 토양이 해빙되면 즉시 심어야 하는데 늦어도 3월 중·하순까지는 심어야 한다.
심는 시기가 늦어질수록 발아가 더디고 지상부 및 지하부 생육도 불량해진다.
봄에 심을 경우는 뿌리가 흙과 잘 밀착되도록 하고, 뿌리가 보이지 않을 정도로 흙을 덮고 물을 10~20ℓ 준 다음 물이 흡수된 후 복토해야 생육이 좋아진다.
심는 거리는 과종, 토양의 비옥도, 품종의 수세, 나무모양 및 전정 방법에 따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토양이 비옥하고 수세가 강한 품종일수록 심는 거리를 넓히고 척박한 토양이나 수세가 약한 품종일 경우는 좁혀서 심는다.
△동계전정시 준수사항 = 과수화상병 등 주요병해의 사전예방을 위하여 과수원을 청결하게 관리하고 과수원 출입용 신발과 작업복은 외부 활동용과 구별 사용한다.
병해충 등으로 오염된 흙이 작업자의 신발 등의 매개로 인하여 기존 오염되지 않은 과원으로 전이되지 않도록 주변 과수원 방문을 자제한다.
사용한 전정가위는 반드시 철저히 소독 후 다른 나무를 전정하는데 사용한다.
과원마다 전정가위를 따로 구비하여 해당 과원에서만 사용하도록 하며 농작업을 하는 사람(작업단)의 과수원 출입 시 작업도구를 반드시 소독한다.
△복숭아, 단감 동해피해 과원 관리기술 = 전정은 눈을 평년보다 1.5~2배 남기고 피해 확인 후 마무리 전정한다.(2월 하순~3월 상순)
갈변부위는 가스로 인한 피해 방지를 위해 상처 내어 가스 제거한다.(4월 하순경)
△화훼 = 선인장 재배관리는 3~5월 선인장의 생장이 가장 왕성하게 이루어지는 시기이다.
토양 수분 및 물관리는 토양의 표면이 젖어있다고 재배상의 바닥까지 물이 흡수된 것이 아니므로 재배상을 파 보아 충분히 젖을 정도로 물을 주어야 한다.
물주는 시기는 재배상의 표토가 마른 후 하루 정도 지난 후에 주는 것이 좋다.
■주간날씨와 농사
● 이번 주 농사날씨(‘21. 3. 7. ~ 3. 13.)[기상청 발표(‘21. 3. 4., 6:00)]
(기온) 7일~8일의 아침 기온은 -3~5℃로 어제(-3~2℃)와 비슷하거나 조금 높겠으나, 중부내륙을 중심으로 영하권을 보이는 곳이 많겠음. 낮 기온은 동풍의 영향을 받는 강원영동(낮 기온 3~7℃)을 제외한 그 밖의 지역에서 7~15℃의 분포로 어제(8~13℃)와 비슷하거나 조금 높겠음. 한편, 9일~13일의 아침 기온은 -2~8℃, 낮 기온은 10~16℃로 어제보다 조금 높겠음.
(강수) 11일은 전라권과 제주도에 비가 시작되어 12일은 충청권과 남부지방, 제주도에 비가 오겠음.
● 이번 주 농사정보(‘21. 3. 7. ~ 3. 13.)[농촌진흥청 주간농사정보 제10호]
(벼농사) [볍씨준비] 지역별 생태와 용도에 맞는 벼 품종 선택 및 건전 볍씨 준비
(밭작물) [봄감자] 산광싹틔우기 실시, 적기 아주심기, 제초제 처리 [콩·팥 종자] 콩·팥 정부보급종 품종특성 확인 후 희망품종 및 물량 신청
(채소) [마늘·양파] 웃거름주기, 싹 꺼내기, 노균병, 흑색썩음균핵병 방제 [고추] 육묘상 중기 관리, 물주는 방법, 모잘록병 예방, 저온피해 엽면시비 [딸기] 온도 및 환기관리, 주요 병해충 방제
(과수) [동계전정] 과수화상병 등 병해 예방을 위한 과수원 청결관리 및 작업 도구 소독
<농촌진흥청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