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서 중국산배 한국산 둔갑 대책 시급
베트남서 중국산배 한국산 둔갑 대책 시급
  • 이경한
  • 승인 2020.11.23 12: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박스·띠지 동일 제작 국산배 수출감소 우려
“정부 간 지리적표시제 명확히 해야”
태국에서 중국산배(오른쪽)가 한국산배와 동일하게 띠지를 만들어 유통되고 있는 모습
태국에서 중국산배(오른쪽)가 한국산배와 동일하게 띠지를 만들어 유통되고 있는 모습

국산 배 수출의 중요한 시장인 베트남에서 중국산배가 대량으로 한국산으로 둔갑을 하고 있어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중국산배는 한국산과 동일한 박스 및 띠지를 활용해 현지에서 유통되고 있어 향후 국산 배 수출 감소의 우려가 높다.

지난해 국산 배 수출량은 30,730톤으로 미국 11,238톤, 대만 10,084톤에 이어 베트남으로 7,096톤이 수출됐다. 베트남은 새롭게 부상하는 3대 국산 배 수출시장으로 시장관리가 요청되고 있다.

중국산배는 베트남뿐만 아니라 지난해 국산배 178톤이 수출된 태국에서도 한국산으로 둔갑해 유통되면서 한국배수출연합(주)(대표이사 박성규 천안배원예농협 조합장)이 aT아세안지역본부의 도움을 받아 현지 변호업체를 섭외해 태국 소비자보호원에 피해신고 및 시정요구를 요청했다.

베트남을 대상으로 배 수출을 주도적으로 하고 있는 수출업체인 (주)에버굿의 최형수 상무는 “중국산배는 중국에서 트럭으로 실려와 베트남에서 판매되고 있어 한국배 수출량보다 실제 더 많이 유통되고 있다”며 “우리 회사의 박스를 가져가 그대로 스캔해 만들었는지 박스와 띠지가 똑같고 태극기까지 그대로 카피해 도용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최 상무는 “상품뿐만 아니라 하품도 가릴 것 없이 모두 한국산으로 유통되고 있다”며 “중국산은 중국산으로 표시해야지 그렇지 않으면 앞으로 우리 배 수출이 줄어들 수 있다”고 염려했다.

박성규 한국배수출연합(주) 대표이사는 “우리배가 중국산보다 좋다는 것을 의미하지만 원산지표시를 확실히 해 상도를 지켜야하는데 그렇지 않아 아쉽다”며 “지금 국내 배수출통합조직인 한국배수출연합(주)은 미국, 대만에 ‘K-pear’상표등록을 했고 베트남, 태국, 호주 등에서 aT와 함께 상표등록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박 대표이사는 “상표등록을 했다고 해도 계속 속이려고 하면 방법이 없을 수 있다”면서도 “태국에서와 같이 현지 변호업체를 섭외해 베트남 소비자보호원에 요청해 시정요구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또한 박 대표이사는 “배 수출관련 소소한 것은 수출통합조직과 aT에서 할 수 있지만 정부에서 나서 정부 간 협상으로 지리적표시제를 명확히 해 중국산은 중국산으로 표시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요청했다.

이와 관련 농림축산식품부 수출진흥과 관계자는 “아직 그런 소식을 들어보지 못해 내용을 확인해 보겠다”며 “개선방안 마련을 위해 고민 하겠다”고 언급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