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과나무 이상증상 원인구명 현장기술지원
|  | |
| ▲ 역병으로 제거한 고사목 | |
|
사과나무 재배 농가에서 장마 직후 대목 및 원줄기에 진물이 흐르면서 나무 전체가 죽어가는 피해가 발생하여 원인 규명을 위하여 실시한 현장기술지원 사례입니다.▲현황5년생의 후지와 시나노레드를 2ha의 면적에 2,500주 재배하고 있다.▲민원인 의견장마 직후 사과나무 대목부 및 주간부에서 진물이 흐르면서 역한 냄새가 나고 전체가 말라 죽으며, 진물은 검은색, 짙은 보라색, 연한 선홍색 등으로 다양하고, 9월 이후는 증상이 멈추며 발병이 적다.2010년도에 다른 농가에서도 5년생 800주가 고사하여 정확한 병명을 알고자 했다.▲조사결과현장방문 시 민원인은 고사한 사과나무 800주를 제거하여 창고에 쌓아 놓았으며, 현재도 일부 나무가 시들면서 고사가 진행 중이다.고사중인 나무는 주간 껍질에 갈색반점 증상이 있고 지제부의 수피도 갈변하였으며, 갈변부위와 건전부위의 경계가 뚜렷하다.병반이 있는 수피의 횡단면을 검사한 결과 역병의 특징인 호피무늬가 나타났다.▲종합의견지제부 대목부위 수피가 갈변 괴사하며 주간부에서 진물이 흐르고 냄새가 나는 전형적인 나무 역병 증상을 보이므로 역병으로 판단된다. 역병은 물에 의하여 전염하는 병이며 장마 때 증식되어 이동하여 나무에 접촉함으로써 병을 일으킨다.역병균은 병든 부위에서 균사나 난포자 형태로 월동하여 다음해 1차 전염원이 되고, 토양 중에서도 난포자 형태로 오랫동안 (2년 이상) 생존하여 전염원이 되므로 다시 발생 할 가능성이 높다.M9은 비교적 역병에 강하나 과다 결실, 토양수분 과다, 제초제 연용 등 불량 환경에서는 이병되어 피해가 심하여 질 수 있다.역병은 습하고 배수가 불량한 토양에서 발생이 심하며, 방제가 어렵고, 장마가 오래 계속되는 해에 많이 발생하며, 봄과 이른 가을에 피해가 크고, 한여름에는 병의 진전이 억제됐다.▲금후 기술지도역병에 감염된 나무는 뿌리와 함께 제거하여 소각한다.역병균은 물에 의하여 전염이 쉽게 되므로 배수가 잘 되게 하고, 또한 대목부나 줄기에 병원균에 오염된 물이 튀어 오르지 못하도록 초생재배 등을 실시한다.역병균이 감염되지 않은 포장에서는 물에 의한 병원균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부에서 물이 들어오지 못하게 하며, 약제에 의한 방제 효과는 높지 않으나 예방 위주로 건전한 나무에도 아인산염을 관주 또는 분무 살포하여 병원균의 밀도를 줄여 준다.
저작권자 © 원예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