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사포인트
농사포인트
  • 원예산업신문
  • 승인 2011.06.27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장마철 과원관리=수확기에 있는 과실은 비가 그친 다음 2~3일 후에 수확한다.침관수가 되지 않도록 배수로의 풀이나 메워진 흙을 제거하고, 붕괴 위험이 있는 곳은 미리 대비하며, 토양이 유실될 우려가 있는 과원은 짚이나 산야초, 비닐 등으로 덮어준다.나무가 바람에 쓰러지지 않도록 받침대로 고정시키거나 묶어주고, 약한 덕 시설도 미리 보강해서 강한 비바람에 무너지지 않도록 대비한다.사과 갈색무늬병, 겹무늬썩음병 등의 발생이 우려되므로 적용약제를 예방 위주로 뿌려서 방제한다.△일소피해 대책=초기증상은 태양광선이 직접 닿는 과실의 과피면이 흰색 또는 연한 노란색으로 변하며, 증상이 진행되면 과피면이 갈색으로 변하고 피해가 더 심해지면 탄저병 등에 의한 2차 감염으로 과실이 부패 한다.발생원인은 강한 광선과 높은 과실온도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 하며, 날씨가 며칠 동안 구름이 끼거나 서늘하다가 갑자기 햇빛이 나고 온도가 올라 갈 때 많이 발생 한다.대기온도가 31℃를 넘는 맑은 날 많이 발생 하며, 수분 스트레스 상태에 있는 과실은 정상적인 과실보다 과면과 과육의 온도가 훨씬 높아 일소 발생의 원인이 된다.방지 대책은 과실들이 강한 직사광을 받지 않게 가지를 배치하고, 과다 착과를 시키지 않는다.수관내부에 햇빛이 골고루 들어갈 수 있게 도장지를 정리(하계전정) 하여주며, 특히 지나친 하계전정은 하지 않는다.관수를 적절히 하여 적습의 토양수분을 유지하도록 한다.초생재배는 청경재배에 비해 일소피해를 감소시키며, 일소를 받은 과실은 추가적인 피해 감소를 위해서 가능한 늦게 제거한다.과실이 햇빛에 노출이 많이 되거나 잦은 일소 피해 발생시 봉지를 씌워서 재배 한다.미세살수 장치가 시설된 과원에서는 대기온도가 30~32℃일 경우 살수처리 하고, 탄산칼슘 200배액(400g/20L), 카올린(Surround WP)을 3~4회 살포 한다. △고추=장마철 관리요령은 고랑의 물이 잘 빠지도록 사전에 배수로 정비, 받침대를 보강하여 쓰러짐을 방지하고, 바람에 쓰러진 포기는 곧바로 세워준다.겉흙이 씻겨 내려간 곳은 흙을 채워주어 뿌리의 노출 방지하고 강우와 연관이 많은 역병, 탄저병, 세균성점무늬병 등 방제 철저히 하고 농약살포 시에는 전착제를 첨가하여 뿌려줌으로써 약효가 지속적이다.△노지수박=수박, 참외 등은 비가 계속해서 오면 당도가 낮아 품질이 떨어지므로, 가능한 뿌리부분에 빗물이 오랫동안 머물러 있지 않도록 물빠짐을 좋게 해준다.수박 노지재배시에는 잎이 부족하여 과실이 강한 햇빛을 직접 받게 되면 과실 내부의 온도가 올라가 피수박이 발생하여 상품가치가 떨어질 수 있으니 수박 잎이나 짚, 신문지 등으로 수박과실을 가려준다.△우박피해 대책=고추는 노지에서 재배되는 밭작물로 재포기간이 길어 정식 후 저온, 서리, 폭우, 우박 등의 피해를 받을 수 있다.우박에 의한 피해는 국지적으로 발생하나, 예측할 수 없기 때문에 사전 대처가 어렵고, 피해 또한 아주 심하다.△화훼=장마철에는 비가 오고 흐린 날이 많아 시설하우스 안에서 재배하는 화훼류는 햇빛이 부족하여 웃자라게 되므로 아주심기 할 꽃은 햇빛을 잘 받을 수 있도록 포기 간격을 충분히 유지해 준다.7월 중순 이후부터 수확할 국화는 저녁 6시부터 다음날 아침 7시까지 해가림을 지속적으로 해준다.글라디올러스 억제재배를 하는 농가는 구근을 정식하기 시작한다. 구근은 우량 종구를 사용하며 고온기로 다소 깊게 정식한다. 정식후 에는 충분한 관수와 멀칭을 하고 해가림을 반드시 하며, 한 구근에 한 개의 싹만 자라게 한다. 덴드로비움은 화아분화기로서 온도는 최저 20℃이상 관리하며 비료는 주지 않고 물주기는 표면이 마르면 준다.시클라멘은 고온기 잎자루 및 잎이 시들지 않도록 반드시 차광을 실시하고(35%) 충분히 환기하여 온도를 내려준다.△느타리버섯 재배=여름철 느타리버섯 재배사는 버섯이 처음 발생할 때는 18~23℃ 정도의 온도와 90% 정도의 습도가 유지되도록 환경을 조절하여 준다.균상에 버섯이 발생되지 않는 시기에 세균성 갈변병을 예방하기 위하여 차아염소산나트륨, 농용신 수화제 등을 적정 희석배수로 살포한다.또한 재배사 환기창에는 방충망을 설치하고, 중앙통로, 출입문 앞에는 유살등을 설치하여 버섯파리 유충의 밀도를 낮추도록 한다.<농촌진흥청 제공>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