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 / 재 / 수 / 첩
취 / 재 / 수 / 첩
  • 원예산업신문
  • 승인 2011.05.30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만 사과검역문제 조속 해결해야

   
우리 사과수출의 90%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대만이 올해부터 한국산 사과에 대해 전수검사를 실시한다고 발표하면서 대만에 대한 사과수출이 중단상태에 있다. 4월초 시험 삼아 1개 농가의 사과 1컨테이너를 수출한 것이 전부다. 대만정부는 지난해 12월 10일부터 올 1월 4일까지 한국산 사과를 대상으로 한 잔류농약 검사에서 6건의 잔류농약이 검출됐다며 앞으로 한국에서 수입되는 신선사과 매 건에 대해 전수검사를 실시한다는 공문을 대만 수입업체 및 한국 대표부에 전달했다.문제는 사과재배 관련 한국의 허용 농약수가 201개인 것에 반해 대만의 허용농약수는 70여개 불과하다. 사과전문연구소 및 산지 관계자들은 대만이 허용하는 농약으로는 사과농사를 지을 수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지난해와 같은 기존농법으로 재배를 하게 되면 대만 검역과정에서 또 잔류농약 검출이 불을 보듯 뻔하기 때문에 사과농가와 수출관계자들은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정부만 바라보고 있다.뚜렷한 매뉴얼이 있는 것도 아니고 이번 달부터 농약 살포작업을 시작하는 다급한 상황이지만 정부는 손을 놓고 있다. 농식품부는 외교부만 바라보고 있고 외교부는 단일사안으로 대만과 교섭을 할 수 없다며 다른 사안들과 묶어서 패키지방식으로 처리한다는 방침이다.농촌경제연구원 관측에 따르면 올해 사과 재배면적은 작년보다 1% 증가한 3만1,310ha, 성목면적은 2% 증가한 2만1,061ha으로 추정되고 있다.대만에 대한 사과수출길이 열리지 않으면 국내 과잉으로 인한 가격하락이 우려되고 있다. 배추파동처럼 당장 닥쳐서 대책을 마련한다고 소동을 부리지 말고 정부는 사과생산단체와 수출관계자의 목소리를 귀담아 듣고 조속히 검역문제 해결을 위해 대만정부와 교섭에 들어가야 한다. 올해는 이미 늦은 면도 있고 정부는 우리사과의 안전성에 대해 대만정부를 잘 설득해 전수검사를 철회할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한다.■이경한<취재부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