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사포인트
농사포인트
  • 원예산업신문
  • 승인 2011.05.2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열매솎기 및 봉지씌우기=열매솎기가 늦어지면 저장 양분의 소모가 많아져 과실의 자람이 나빠지고 내년도 꽃눈 분화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가능한 빨리 마치도록 한다.사과는 열매자루 부분이 원형인 열매보다는 평형과가 큰 과실이 될 가능성이 높고, 배는 배꼽이 없는 과실이 품질이 좋게 되므로 열매 상태를 보아 가면서 솎아주도록 한다.배 봉지를 씌우는 시기는 대체로 생리적 낙과가 끝나고 최종 적과를 마친 다음 실시한다. 청배 계통은 과피 보호 측면에서 봉지씌우는 적기가 과점 코르크가 발달하기 직전인 만개 후 30일 이내로 빠를수록 좋다. 빨리 봉지를 씌울 경우 봉지 무게에 의해 낙과되기 쉬우므로, 적과 직후에 작은 봉지를 씌우고, 어느 정도 과실이 자란 후 대봉지를 씌우는 것이 좋다.△과수원 관리=과수는 새순, 꽃, 열매 등의 초기생장으로 나무의 저장양분이 대부분 소모되었으므로 웃거름을 주도록 하는데 착과량이나 나무의 세력 등을 감안하여 비료량을 조절하여 준다.응애, 진딧물류는 발생초기에 방제하는 것이 효과적이므로 새순과 잎 뒷면을 살펴보아 2~3매 마리 보일 때 적용약제를 뿌려 방제토록 한다.복숭아순나방이 발생할 경우 지역별 공동으로 적용 살충제를 살포하고, 발생원이 되는 주변의 방치된 핵과류(복숭아, 자두)는 제거하거나 살충제를 살포하여 관리해 주도록 한다.복숭아순나방이 자주 발생하는 사과원에서는 효율적 방제를 위해서는 지역 또는 작목반 공동으로 발생예찰용 성페로몬트랩을 설치하여 5~10일마다 성충 발생 상황을 조사하고, 성충 다발생 10~15일 후에 적용 살충제를 살포해야 한다.△고추=정식이 끝난 고추는 가급적 빨리 지주대를 세우고 줄로 단단하게 고정하여 쓰러짐을 방지한다.고추는 생육기간이 본밭에서만 5개월 이상이 되기 때문에 웃거름을 적당한 간격으로 나누어 주어야 비료부족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다.웃거름 주는 방법은 물 비료와 고형비료 어느 것으로 하여도 무방하나 비료의 효과에서 본다면 물 비료를 만들어 주는 것이 좋다.1차 웃거름 주는 시기는 아주 심은 후 25~30일 정도 전후해서 주되, 멀칭한 비닐을 막대기로 포기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뚫고 적정량의 비료를 넣어준다. 점적관수 시설이 설치된 포장에서는 800~1,200배의 물비료를 만들어 관수와 동시에 주면 효과적이다.최근에 헛골의 잡초제거를 위해 부직포를 피복하는 농가가 많아지고 있는데 외부온도가 낮은 시기에 부직포를 피복하면 토양온도가 낮아 초기 생육이 떨어지는 원인이 되므로 토양온도가 충분히 확보 된 후 부직포를 피복하도록 해야 한다.여름철 장마에 대비하여 미리 배수구를 잘 정비하여 고랑에 물이 고이지 않도록 해 준다.△마늘·양파=양파는 수확시기가 늦으면 수량은 증가되나 저장력이 떨어지게 되므로 용도에 따라 수확시기를 조절하도록 한다.마늘은 줄기와 잎이 1/2~2/3 정도 누렇게 말랐을 때 수확하고, 중만생종 양파는 9월 이전에 출하할 경우는 100%, 11월 이전에 출하하고자 할 때는 60~80% 쓰러졌을 때 수확한다.마늘과양파는 맑은 날을 택하여 상처가 나지 않게 적기에 수확 2~3일 동안 밭에서 건조 시킨다.△고랭지 배추=육묘중인 배추는 진딧물에 의한 바이러스 전염 및 각종 해충의 피해 경감을 위해 방충망으로 피복한다.아주심기 1주일 전에는 포장 환경에 견딜 수 있게 관수량을 줄이고 온도를 낮추어 모종을 순화시키도록 한다.무사마귀병 예방을 위해 적용약제를 정식 직전 토양 전면 혼화처리하거나 아주심기 전 해당약제에 어린 모를 침지하여 사전 예방을 하도록 한다.△화훼=노지재배용 국화는 삽목상을 설치하여 묘목을 준비하도록 한다.장미는 시설재배에서 일교차가 심하면 생리장해가 발생하기 쉽고 개화 일수가 길어지게 되므로 밤의 온도를 15~18℃로 관리해 준다. 5,6월에는 흰가루병 방제에 특히 유의하여 방제한다. 종구를 생산할 목적으로 재배하고 있는 구근류 화훼 포장은 비가림 재배로 품질이 좋은 종구를 생산하도록 한다.△버섯=여름 느타리버섯의 균 기르기를 할 때는 20~23℃의 온도와 65~70%의 습도를 유지하여 주고, 하루에 2~3회 정도 신선한 공기가 유입되도록 환기를 해주어 버섯 균의 활력을 높여 주도록 한다.냉열차단 물 매트 등 버섯 재배사 환기시스템을 설치하여 온·습도를 자유롭게 조절 가능하게 하여 고급버섯을 생산하도록 한다.<농촌진흥청 제공>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