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연구원, ‘고추이야기’ 책자발간
한국식품연구원(원장 이무하) 권대영박사 연구팀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정경란 연구팀은 우리나라 고추 전래설을 밝힌 ‘고추이야기’ 책자를 최근 발간했다고 밝혔다. 이 책은 우리나라 식품의 역사를 바로잡을 수 있는 책이어서 학계는 물론 식품학자들 간에도 관심이 많다. 자세히 보면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전통식품은 고추가 들어가지 않은 것이 없다. 그런데도 고추가 임진왜란 때 들어왔다고 주장한다.더군다나 권대영 박사 연구팀은 일본전래설 추종자들이 이러한 모순점을 억지로 합리화하려다 보니 만들어낸 설, “우리나라 김치의 역사가 100년 밖에 안 된다”, “고추장도 원래는 후추로 만들었는데 나중에 고추장이 되었다” 등 수많은 허황된 설 등을 과학자로서 도저히 참을 수 없어서 이 연구를 시작했다고 한다. ‘고추이야기’ 책에서는 200여개가 넘는 옛 문헌의 기록을 동원해 이 모순점에 대하여 조목조목 반박하고 허황된 주장에 대한 확실한 답을 주고 있다. 역설적으로 이러한 온갖 허황된 설이 만들어지거나 동원되지 않고는 성립될 수 없는 설 즉 ‘고추의 일본 전래설’은 틀렸다고 본다. 권 박사는 1700년대에 발간된 고문서 ‘오주연문장전산고’에 기록된 내용, 즉 “남만초(일종의 태국고추 : 중국에서 보면 남만국은 태국, 베트남, 인도네시아를 말함)라는 매운 고추가 일본을 통하여 들어 왔다.
저작권자 © 원예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