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과학원, 맞춤형시비 생장 28배
나무 심는 계절을 맞아 전국의 산, 공원, 도로, 집 주변에 많은 양의 나무를 식재를 하고 있다. 나무도 어릴 때 영양상태가 매우 중요하다. 우리 옛말에 ‘될성부른 나무는 떡잎부터 알아본다’ 는 속담이 있다. 어릴 때 영양상태가 좋아야 생장에 영향을 주어 큰 나무로 자랄 수 있는 바탕이 된다. 또한 어린나무에 비료주기는 초기생장을 빠르게 해 줌으로써 잡초와 잡목에 가려서 심은 나무가 고사하거나 생장이 불량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어린나무에 맞춤형 비료를 줄 경우 시비효과가 매우 크게 나타나 비료를 주지 않은 나무에 비해 나무 키(수고) 생장은 최고 28배, 나무 밑 직경(근원경) 생장은 9배 더 자라는 결과가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연구팀에 의해 밝혀졌다.비료주기 효과는 수고생장의 경우 낙엽송이 가장 높아 무시비구에 비하여 28.4배 생장했고 상수리나무 12.0배, 자작나무 3.7배, 소나무는 3.1배 더 생장했다. 또한 근원경 생장은 상수리나무가 8.8배로 제일 높고 자작나무 3.9배, 낙엽송 3.7배 더 생장했다. 국립산림과학원 관계자는 우리나라 산림토양은 70%가 넘는 지역이 화강암과 화강편마암을 모암으로 생성되었기 때문에 대부분 토심이 얕고 나무 생장에 필요한 양분함량이 부족한 토양이라고 밝혔다.최근 대단위 면적으로 조성되고 있는 신도시와 아파트단지를 신축하는 곳은 식재기반을 조성하기 위해 외부에서 흙이 반입되는데, 대부분 수목생육에 필요한 양분함량이 1/10도 안되는 매우 척박한 토양이기 때문에 수목이 정상적으로 생육하기 위해서는 비료주기가 반드시 필요하다.
저작권자 © 원예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