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핵과류 최신 육종정보(플럼코트와 플루오트) ■
|  | |
▲플럼코트플럼코트는 현재 국내에서는 거의 재배되지 않고 있으나 새로운 소득원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작목 중의 하나이다. 미국의 거대 육종회사인 자이거 제네틱스사(Zaiger’s Genetics)에서는 최근 자두와 살구의 특성이 결합된 종간교잡종으로 플럼코트를 육성해 오고 있으며 이들 품종에 대한 특허권을 취득해 오고 있다.국내 플럼코트 품종으로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2007년 육성한 황육계 품종 ‘하모니’가 있고 2010년 적육계 플럼코트 품종 출원을 앞두고 있다. 플럼코트(Plumcot)는 자두(Plum)와 살구(Apricot)를 교잡하여 만든 새로운 과종으로 두 과종의 맛을 동시에 느낄 수 있다. ‘하모니’는 1999년 자두 ‘솔담’에 살구 ‘하코트’를 교배하여 2007년 육성한 품종으로 과실 숙기는 살구인 ‘하코트’ 보다 5일 정도 늦은 7월 상중순이다. 과피에 미세한 털이 있어 하코트와 유사한 외관이나 과경부가 하코트 보다 다소 길고 과피면이 매끄러우며 점핵성이다.평균과중은 87.7g으로 ‘하코트’ 보다 크고 과육색은 진한 황색이다. 당도는 14.0°Bx 이상으로 과즙이 ‘하코트’ 보다 많아 식미가 우수하다. 2010년 출원을 앞두고 있는 적육계 플럼코트 계통(7-1647)은 평균과중이 90.0g 이상으로 당도는 14.4°Bx 이며 과육이 짙은 붉은 색을 띠고 있으며 산미가 적고 과즙이 많아 식미가 우수하다. 꽃의 모양은 자두보다는 살구에 가깝게 생겼고 개화기는 ‘하코트’ 보다 2~3일 정도 늦다. 꽃가루가 없으며 다른 플럼코트 및 자두 품종과 불화합성이 높으므로 하코트 또는 개화기가 유사한 살구 품종을 수분수로 반드시 혼식하여야 한다.자이거 제네틱스사 육성 품종들은 미국 시장에서 뿐 아니라 호주, 칠레, 스페인, 남아프리카공화국 등의 자두 산업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태리, 프랑스, 뉴질랜드, 이스라엘, 브라질 등의 나라에서도 이들 품종들이 보급되고 있다.따라서 앞으로 이런 종간교잡종들의 재배면적이 전 세계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식미가 우수할 뿐 아니라 타과종과 비교하여 기능성물질 함량이 매우 높아 향후 다양한 소비자층을 확보할 것으로 기대된다.▲플루오트플루오트는 현재 국내에서 재배면적은 많지 않으나 앞으로 새로운 소득원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작목 중의 하나이다.정확한 통계자료는 없으나 국내 한 종묘회사의 묘목 판매현황 자료에 따르면 2010년 현재 2만주 이상의 묘목이 공급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앞으로도 그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플럼코트와 마찬가지로 자이거 제네틱스사(Zaiger's Genetics)에서 Crimson Sweet, Dapple Dandy, Early Dapple 등 20여 플루오트 품종을 육성해 오고 있으며 이들 품종에 대한 특허권을 취득해 오고 있다. 플루오트는 자두와 살구의 종간교잡종인 플럼코트에 다시 자두를 교배하여 육성한 종간교잡종이다. 유전적으로 1/4이 살구, 4/3이 자두라 할 수 있으며 맛이나 외관에 있어 플럼코트 보다 자두에 더 가까운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와 유사한 애프리움(Aprium)은 자두와 살구의 종간교잡종인 플럼코트에 다시 살구를 교배하여 육성한 종간교잡종이다. 유전적으로 1/4이 자두, 3/4이 살구라 할 수 있다.플루오트는 기존의 살구나 자두 보다 당도가 높고 산미가 적으며 과즙이 풍부하고 향이 좋아 식미가 매우 우수하다. 자두와 유사하게 과피에 털이 없어 과피면이 매끄러우며 점핵성이다. 품종에 따라 과중은 80~150g 정도 중대과이며 과육색은 전반적으로 진한 적색을 띠고 있다.꽃의 모양은 살구보다는 자두에 가깝게 생겼고 일반적으로 동양계 자두 품종이 수분수로 이용된다. 주요 품종으로 Falvor Queen, Flavor Rich, Crimson Sweet, Dapple Dandy, Flavor Grenade 등 20여 품종이 있다. ‘Dapple Dandy’ 품종은 검은 얼룩이 박힌 모양이 공룡 알과 유사하여 ‘Dinosaur egg’라고 불리기도 한다. 자이거 제네틱스사 육성 플루오트 품종들은 미국 시장에서 뿐 아니라 호주, 칠레, 스페인, 남아프리카공화국 등의 자두 산업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태리, 프랑스, 뉴질랜드 등의 나라에서도 이들 품종들이 보급되고 있다.따라서 앞으로 이런 종간교잡종들의 재배면적이 전세계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우리나라에서도 재배면적도 점점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저작권자 © 원예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