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마토순멎이 및 이상줄기 원인규명 현장기술지원
|  | |
| ▲ 농업인의 포장 설명 | |
|
토마토 3화방 발생 이후 생장점이 정상적으로 전개되지 않으며, 화방에서 줄기가 나오는 증상이 발생하여 원인 규명과 대책을 의뢰하여 기술지원을 실시한 사례입니다.▲농가 일반현황주소는 인천광역시 계양구이며, 경종개요 재배규모는 2,640㎡(비닐하우스) 작목 및 품종은 토마토 ( 0 0 0)이다.▲민원인 의견토마토 3화방 발생 이후 생장점이 정상적으로 전개되지 않고 있으며 화방에 줄기가 나오는 현상이 발생하는 순멎이가 포장에 나타났다.또한 토마토 화방에 과일이 착과된 후 다시 줄기가 발생하는 잎줄기현상도 매우 심하게 나타났다.▲현지조사 및 기술지도 결과토마토 재배 중 제1화방까지는 정상적으로 생장하였으나 2화방부터 줄기 간격이 짧아지고, 줄기가 납작해지는 이상줄기가 발생하고 3화방 발생 이후는 더 이상 생장점이 자라지 않는 순멎이가 발생했다.제1화방에서부터 화방에 과일이 착과된 후 그 끝에 다시 줄기가 발생하는 잎줄기 현상도 포장 매우 심하게 나타났다.현재까지의 재배관리상 특이한 점은 정식 후 배꼽 썩음병 예방을 위해 칼슘을 3회 엽면시비 하였고, 바닷물 500ml를 물 20L에 희석하여 2회 엽면 살포했다.▲종합검토 의견줄기, 생장점 부위의 생육진단은 순멎이 및 이상줄기 증상이다.정식을 위해 육묘장에서 가져온 모종의 일부개체가 순멎이 증상을 나타났다는 농가의 주장으로 보아 정식한 식물체의 발아 및 육묘환경이 토마토 순멎이 발생을 조장할 우려가 있다.농가에서 발생한 순멎이의 경우는 지나치게 높은 pH로 인해 질소의 손실과 토양 중 유기물, 유효인산, 칼륨 함량이 부족하여 정상 생육이 어려워짐에 따라 순멎이가 발생한 것이다.순멎이는 야간에 저온과 석회나 칼리가 지나치게 부족하거나 또는 많을 때 붕소 흡수가 저해되어 나타났다.▲금후 기술지도 내용 민원인 농가의 토마토 재배 토양은 적정 기준치보다 토양 pH가 과다하게 높고, 유기물과 유효인산, 그리고 칼륨 함량이 매우 낮았다.현재 재배중인 토마토가 수확이 완료되려면 앞으로 약 1개월 정도 재배되어야 할 것이나 토양내에 양분이 지나치게 적어 과일의 생장이 원활치 못할 것이므로, 토마토 재배중에는 질산(HNO3)과 제1인산칼리(KH2PO4)비료를 약 1000배로 희석하여 1주일 간격으로 관주하여 토양 pH를 낮춰 주는 동시에 부족한 질소와 인을 보충해 주어야 한다.※ 토양 pH가 지나치게 높아 요소비료를 사용할 경우 가스장해가 발생하므로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현재 재배중인 토마토가 수확이 완료되면 토양 pH 강하 조정 작업을 반드시 수행하여야 하는데 아래의 방법을 참고하여 처리하기 바란다.관주용 양액통에 용수를 받아 pH를 5.5로 조정 (황산(H2SO4) 5~6ml/물 1톤) 하여 토양 깊이 30cm정도까지 충분히 스며들도록 관수하고, 토양이 건조되면 깊이갈이하여 로터리를 약 2회 정도 해야 한다.유황가루 50kg/300평의 양을 토양에 살포하고 깊이갈이하여 로터리를 약 2회 정도 할 것이다. 이 작업은 최소한 다음 작기의 15일 전까지 완료되어야 한다.피트모스 10포(압축시 100리터 포장)/300평의 양을 토양에 살포하고 깊이갈이해 로터리를 약 2회 정도 해야 한다. 완전히 부숙이 된 완숙퇴비를 충분히 시용해야 할 것이다.이상의 토양 pH 를 낮추는 방법 중 한가지를 선택하여 처리한 후에는 반드시 토양 적정 pH 6.0 ~ 6.5 와 EC 3.0 를 확인하고, 토양 화학성 분석(농업기술센터)을 통해 토양의 상태를 확인한 후 작물을 정식하여야 한다.
저작권자 © 원예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