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채소류 농업관측

배추, 6월 출하량 전년대비 감소 전망 마늘, 25년산 마늘 생산량 전년대비 증가

2025-06-25     원예산업신문

여름배추 재배면적 전년대비 감소한 것으로 전망되며, 2025년산 양파·마늘 생산량 전년대비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정보센터 제공

■배추
△출하 전망 = 6월 출하량 전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6월 출하량은 전년 대비 0.6% 감소, 평년 대비 2.1% 증가한 것으로 전망되며, 여름배추 출하량 증가하나, 출하 비중이 큰 봄배추 출하량이 줄어 전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배추 생산량 증가하였으나, 6월 중 봄배추 저장의향 높아 출하량 전년 대비 1.7% 감소, 여름배추 4월 정식량 크게 늘어 6월 출하량 전년 대비 7.3%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여름배추 생산량은 23만 6천 톤으로 전년 대비 6.0% 증가, 평년 대비 24.5% 감소한 것으로 전망되며 재배의향면적은 3,418ha 내외로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8.8%, 23.9%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연작 피해, 선충 발생으로 인한 휴경, 기온 상승에 의한 재배 어려움 등으로 재배의향면적 감소, 정식기 배추 시세 약세로 전월 대비 재배의향면적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단수는 6,899kg/10a 내외로 전년 대비 16.2% 증가, 평년 대비 0.8%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가격 전망 = 6월 도매가격 전년 대비 상승, 평년 대비 하락한 것으로 전망된다.
6월 상품 도매가격은 7,000/10kg 내외로 전년 대비 상승, 평년 대비 하락한 것으로 전망된다. 봄배추 저장의향 높아 출하량이 전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무
△출하 전망 = 6월 출하량 전년 대비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6월 출하량 봄무 생산량 증가로 전년 대비 10.0% 증가, 평년 수준으로 전망되며, 겨울무 저장 재고량 줄었으나, 노지봄무 생산량 증가, 봄 저장 수요 늘어 평년과 출하량이 비슷한 것으로 보인다.
시설봄무 재배면적 늘어 생산량 전년 대비 증가한 것으로 전망되며, 재배면적은 29ha 내외로 전년 대비 37.7% 증가, 평년 대비 28.9%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단수는 12,628kg/10a 내외로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0.5%, 0.4% 감소한 것으로 전망되며, 생육기(3~4월) 저온으로 생육 지연되었으나, 5월 기상여건이 양호하여 생육 회복한 것으로 보인다.
생산량은 3천 7백 톤으로 전년 대비 37.0% 증가, 평년 대비 29.2%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가격 전망 = 6월 도매가격 전년 대비 하락한 것으로 전망된다.
6월 상품 도매가격은 12,000원/20㎏ 내외로 전년 대비 하락, 평년 수준이다. 6월 상순 노지봄무 본격 출하로 전년 대비 가격 하락한 것으로 전망된다.

■양파
△생산전망 = 25년산 중만생종 양파 생산량 전년 대비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중만생종 양파생산량은 108만 9천톤 내외로 전망된며, 전년대비 3% 증가, 평년대비 2%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양호한 기상 여건으로 생육 원활, 특히 2024년에 노균병 피해가 컸던 호남지역 작황이 매우 양호한 편이며 다만, 경남지역에서는 1~3월 저온·가뭄, 4월 눈과 서리 영향 등으로 타 지역 대비 생육이 지연된 것으로 보인다.
△가격전망 = 6월 양파 가격 평년 수준으로 전망된다.
상품 도매가격은 950원/kg 내외로 출하량 증가로 전년 1,020원 대비 하락, 평년 970원과 비슷할 것으로 전망된다.

■마늘
△생산전망 = 25년산 마늘 생산량 전년 대비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마늘 생산량은 30만 3천톤 내외로 전망되며, 전년대비 7% 증가, 평년대비 1% 감소한 것으로 전망되며, 재배면적은 22,837ha 내외로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3.2%, 5.3%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단수는 1,328kg/10a 내외로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10.1%, 4.9% 증가한 것으로 전망되며, 수확기 기상 악화로 생리장해 발생이 많았던 남도종, 전년 대비 후기 생육 호조를 보이며 다만, 대서종 주산지인 경남 창녕 및 경북 영천 등에서는 구 비대 부진하여 전년과 비슷하거나 감소 가능성이 존재한 것으로 보인다.
△가격전망 = 6월 깐마늘 가격 전월 대비 하락한 것으로 전망된다.
상품 도매가격은 7,900원/kg 내외로 2024년산 재고량 감소로 상순까지 가격 높겠으나, 상순 이후 햇깐마늘 출하로 가격 하락세가 전망된다.

■대파
△출하전망 = 6월 출하량 전년 대비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6월 출하량은 단수 증가로 전년대비 4% 증가한 것으로 전망되며, 출하면적은 전년과 비슷한 것으로 보이며 경기북부(시설)지역은 타작목(시금치, 상추 등)으로 전환되어 재배면적이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예상단수는 전년 대비 4% 증가한 것으로 보이며, 경기지역은 생육기 저온 영향으로 단수가 감소하나, 전북·영남지역은 출하기 기상호조로 전년 대비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가격전망 = 6월 대파 가격 전년 대비 하락한 것으로 전망된다.
상품 도매가격은 1,300원/kg 내외로 봄대파 출하량 증가로 전년 1,520원 대비 하락한 것으로 전망된다.

■당근
△출하 전망 = 6월 출하량 전년 대비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6월 출하량은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17.4%, 7.7% 증가한 것으로 전망되며, 시설·노지봄당근 재배면적이 증가한 것으로 영향이 보인다.
봄당근 재배면적 늘어 생산량 전년 대비 증가한 것으로 전망되며, 재배면적은 1,020ha 내외로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8.5%, 6.8% 증가한 것으로 보이며, 전년 출하기 및 금년 파종기 높은 가격 지속으로 타 품목(양배추 등)에서 당근으로 작목 전환되어 재배면적이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단수는 2,596kg/10a 내외로 전년 대비 5.5% 증가, 평년 대비 7.4% 감소한 것으로 전망되며, 시설봄당근 조생종의 경우 파종 시기 강우와 이른 파종 영향으로 단수 감소폭 컸으나, 5월 이후 출하분은 생육 기간 확보 및 기상 여건 개선되며 단수가 회복되는 추세이다.
노지봄당근은 기상여건 호조로 작황이 양호한 편이다.
생산량은 2만 6천 톤 내외로 전년 대비 14.4% 증가, 평년 대비 1.1%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여름당근 재배의향면적은 482ha 내외로, 전년 및 평년 대비 15.3%, 21.3%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가격 전망 = 6월 도매가격 전년 대비 하락한 것으로 전망된다.
5월 상품 도매가격은 24,000원/20㎏ 내외로 전년 및 평년 대비 하락한 것으로 전망되며, 시설봄당근과 노지봄당근의 출하량 증가로 전년 및 평년 대비 가격이 하락한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