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사포인트 - 가을배추·무, 저온대비 부직포·비닐 준비

과실 수확할 때 상처 생기지 않도록 주의

2024-10-02     원예산업신문

△가을배추‧무 = 배추 아주심기 후 15일 간격으로 4회 정도 비료주기하며 생육이 부진한 포장은 요소 0.2%액(20L에 40g)을 잎에 뿌려준다.
결구가 시작된 포장은 하루에 10a당 200L의 물 필요하므로 관수 실시하고 수분을 가장 많이 요구하는 시기는 파종 후 40∼50일 경인 결구초기이다.
저온대비는 갑작스런 추위를 대비해 부직포나 비닐을 준비하고 기상 예보에 따라 덮어주거나, 수확기가 된 무와 배추는 서둘러 수확한다.
병해충은 노균병, 균핵병, 진딧물, 나방류, 벼룩잎벌레 등 예찰 및 방제한다.

△시설채소 = 보온력 향상을 위한 다겹보온커튼, 고정다중피복, 하우스 외면피복, 외부풍속을 줄일 수 있는 방풍벽 설치, 하우스 내 지온 유지를 위한 단열층 설치, 자연에너지의 이용증대 등이다. 
바이러스병 예방은 어린 묘 심기 전에 시설하우스의 측창이나 출입구에 방충망 설치, 하우스 내 잡초 제거, 심기 1∼2일 전 묘판에 식물 보호제를 뿌려 해충을 방제하고 이상 증상 묘는 골라낸다.

△과실수확 = 과실 수확은 하루 중 온도가 높은 때를 피하고 온도가 낮을 때 수확하여 과실의 양분 소모를 줄이도록 한다.
수확기에 비가 내릴 경우에는 병해 감염 우려가 있으니 비가 그친 후 수확하도록 한다.
과실은 한 나무에서도 익는 시기가 다르므로 한번에 수확을 하지 말고 익음 정도에 따라 2∼3회 나누어 수확하여 품질을 높이도록 한다.
과실은 껍질이 매우 연하여 수확할 때 무리한 힘을 가하거나 부딪쳐서 상처가 생기지 않도록 한다. 과실의 꼭지가 빠지면 상품 가치가 떨어지고 저장력이 약해지므로 작업할 때 주의하도록 한다.
과실은 장갑을 낀 손으로 과실을 받쳐 들고 가볍게 위로 젖히면 쉽게 수확할 수 있으며, 과실 담는 용기 안쪽에 스펀지 등을 깔아 과실에 상처가 생기지 않도록 한다.

△사과 수확시기 결정 = 수확시기에 따라 과일의 품질이 좌우되므로 수확시기 결정이 매우 중요, 1일 작업량은 수확한 과일을 수확 당일에 저장고에 입고하는 것을 기준으로, 필요한 작업 인원 산출 및 수확량을 계산한다.
바로 출하할 때는 유통기간 3∼5일 정도의 품질 변화만 고려하므로 착색도, 조직감(경도) 및 식미가 충분히 성숙 되었을 때 수확하고, 지나치게 성숙되면 유통과정에서 급격히 품질 저하된다.
저장용은 장기간 품질변화를 고려해 조직감이나 풍미를 기준으로 하기 어려우므로 저장용 과일의 수확기 전분반응 지수 이용한다.

△화훼 = 국화관리특성은 낮 길이가 짧아야 꽃이 피는 대표적인 단일식물로, 여름철에 단일을 위해 암막처리를 통해 개화를 유도하지만, 암막처리 시 환풍 등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고온으로 인한 개화지연이나 화색 탈색뿐만 아니라 생육 억제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국화 재배작형은 국화 재배는 전조재배, 차광재배(빛가림재배), 자연재배(노지재배) 등으로 크게 나뉘어진다.

△인삼(이랑만들기) = 이랑은 10월 중순∼11월 상순까지 정동(正東)에서 남쪽으로 25∼30°와 정서(正西)에서 북쪽으로 25∼30°를 연결하는 방향(나침판 115∼120°)으로 만드는데 이랑의 방향은 인삼의 생육에 큰 영향을 준다.
경운 로터리 작업을 한 후 예정지 중앙에 나침반을 놓고 기준선을 설정하며 180cm 간격으로 기준선과 평행하게 선을 긋고 골을 파거나 표시를 한 다음 고랑이 될 곳의 흙을 두둑이 될 곳에 쌓이도록 관리기나 작판기를 이용하여 작업 해준다.
이랑 규격은 두둑 폭 90cm, 고랑 폭 90cm, 두둑 높이 35cm로 만들며, 작업 및 통풍 등을 고려하여 보통 27m(15칸) 이내로 길지 않게 밭의 모양에 따라 가감하여 만들어 준다.

■주간날씨와 농사
● 이번 주 농사날씨(’24. 9. 29. ~ 10. 6.) [기상청 발표(’24. 9. 26., 6:00)]
(기온) 29~10월 1일 아침 기온은 14~21℃, 낮 기온은 22~29℃로 평년(최저기온 12~18℃, 최고기온 22~25℃)보다 조금 높겠으나, 2~6일 아침 기온은 9~19℃, 낮 기온은 19~26℃로 평년(최저기온 10~17℃, 최고기온 22~25℃)과 비슷하거나 조금 낮겠음.
(강수) 10월 1일은 수도권과 강원도, 제주도에, 2일은 강원영동에 비가 오겠음.
● 이번 주 농사정보(’24. 9. 30. ~ 10. 6.) [농촌진흥청 주간농사정보 제40호]
(벼농사) [적기 수확] 벼의 수확 적기는 외관상 충분히 익고 수분함량이 25% 이하일 때로 출수 후 조생종은 45~50일, 중생종 50~55일, 중만생종 55~60일이며 수발아가 발생한 논은 가능한 빨리 수확 [건조 및 저장] 일반용은 45℃, 종자용은 40℃ 이하에서 건조, 저온저장은 수분함량 15%, 저장온도 10~15℃, 상대습도 70~80% 정도 유지
(밭작물) [가을감자] 예비 저장은 온도 12~15℃, 습도 80~85%에서 1주일 정도 실시, 본 저장은 3~4℃, 습도 80~85%에 보관 [보리·밀] 월동 전에 본 잎 5~6매 확보, 파종 전 종자소독 
(채소) [딸기] 아주심기 후 1개월 후 보온 실시, 야간온도 12~15℃ 관리
(과수) [수확] 과실은 익음 정도에 따라 2~3회 나누어 수확하여 품질 확보  해주고 상처 나지 않도록 온도가 낮을 때, 비 그친 후 실시
(특작) [인삼] 10월 중순~11월 상순 사이 표준이랑 규격, 방향에 맞춰 조성

<농촌진흥청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