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채소류 농업관측

배추 7월 출하량 평년대비 7.4% 감소 중만생종양파 생산량 전년대비 5% 증가

2024-07-10     원예산업신문

7월 배추·무 출하량 전년대비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며, 2024년산 중만생종양파 생산량은 전년대비 증가, 마늘은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정보센터 제공

■배추
△출하전망 = 7월 출하량 전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7월 출하량은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7.2%, 7.4% 감소한 것으로 전망되며 저장 출하 전년 대비 11% 증가하나, 출하 비중 큰 여름배추 출하량 전년 대비 12%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8월 출하량은 전년 및 평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가격 전망 = 7월 도매가격 전년 대비 상승한 것으로 전망된다.
7월 상품 도매가격은 9,000원/10㎏ 내외로 전년 및 평년 대비 상승한 것으로 전망된다.
8월 도매가격 전년 및 평년 대비 상승한 것으로 전망된다.

■무
△생산 전망 = 노지봄무 생산량 전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노지봄무 생산량은 8만 6천 톤 내외로,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15.0%, 9.4% 감소한 것으로 전망되며 재배면적은 816ha 내외로 전년 대비 8.3% 감소, 평년 수준으로 전망된다.
단수는 10,565kg/10a 내외로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7.3%, 9.8% 감소한 것으로 전망되며, 터널봄무 가뭄으로 인한 생육지연 및 단수 감소, 발아기 저온 등으로 추대 확산한 것으로 전망된다. 완전노지봄무 6월 고온으로 결주 및 충해(고자리파리, 벼룩벌레 등)가 발생한다.
터널봄무 출하 종료 시기는 생육지연으로 평년(6월 하순) 대비 늦은 7월 상순으로 전망된다.
△가격전망 = 7월 도매가격 전년 대비 상승한 것으로 전망된다.
7월 상품 도매가격은 15,000원/20㎏ 내외로 전년 및 평년 대비 상승한 것으로 전망된다.
7월 출하량은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9.8%, 10.8%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양파
△생산전망 = 2024년산 중만생종양파 생산량 전년 대비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중만생종양파 생산량은 105만 6천 톤 내외로 전망되며, 전년 대비 5% 증가, 평년 대비 4%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재배면적은 15,858ha로 전년 대비 6%, 평년 대비 4%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단수는 6,656kg/10a로 전년과 비슷, 평년 대비 7%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전년 대비 병 피해 적었으나, 기상여건 악화(겨울철 잦은 강우, 3월 초 저온, 생육기 일조량 부족 등)로 구 비대가 부진한 것으로 보이나 지역별·농가 간 작황 편차 크며, 작황 양호한 포전은 전년 대비 단수 증가하나, 작황 이부진한 포전은 단수 감소폭이 확대된 것으로 전망된다.
△가격전망 = 7월 양파 가격 전년 대비 하락한 것으로 전망된다.
상품 도매가격은 1,000원/kg 내외로 전년 1,330원 대비 하락한 것으로 전망된다. 중만생종양파 생산량 증가로 가격이 하락한 것으로 전망된다. 소구(구 직경 8cm 미만) 비율 높을 것으로 예상되어 품위 간 가격 격차 클 것으로 예상된다.

■마늘
△생산전망 = 2024년산 마늘 생산량 전년 및 평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마늘 생산량은 28만 5천 톤 내외로 전망되며, 전년 대비 9%, 평년 대비 13%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면적은 23,592ha로 전·평년 대비 각각 4%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단수는 1,206kg/10a로 전년 대비 5%, 평년 대비 9%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생육기 기상 여건 악화(월동기부터 4월까지 지속된 강우, 급격한 기온 변화, 일조 부족 등)와 생리장해 발생 및 병 조기 출현으로 전반적인 마늘 작황 전년 및 평년 대비 부진한 것으로 전망된다.
남도종 마늘 중심 2차 생장(벌마늘), 스펀지마늘 등 생리장해 발생 증가, 대서종과 한지형 마늘 생육 후기 병해 및 잎끝마름 증상 발생 증가로 조기 수확 진행, 특·상품과 비중이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품종별 생산량은 대서종 전년 대비 7% 감소, 남도종 전년 대비 14%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가격전망 = 7월 깐마늘 가격 전년 및 평년 대비 상승한 것으로 전망된다.
상품 도매가격은 6,900원/kg 내외로 전망된다. 2024년산 생산량 감소로 전년 6,600원 및 평년 6,630원 대비 상승한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 수급 대책(국내산 수매비축 추진 등)과 2023년산 재고마늘 출고 동향 및 햇마늘 입고 의향 등에 따라 가격 변동 가능성이 존재한다.

■대파
△출하전망 = 7월 출하량 전년 대비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7월 출하량은 단수 감소하나, 출하면적이 늘어 전년 대비 1%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출하면적은 전년 대비 12% 증가한 것으로 보이며, 주산지(경기·강원지역) 재배면적이 증가하여 여름대파 출하면적 전년보다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예상단수는 전년 대비 9% 감소한 것으로 보이며, 출하 비중이 높은 경기지역은 고온과 큰 일교차로 병해(잿빛 곰팡이) 발생이 증가하면서 단수가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장마철 이후 고온 및 태풍 등 기상 여건이 관건이다.
△가격전망 = 7월 대파 가격 전년 대비 하락한 것으로 전망된다.
상품 도매가격은 1,800원/kg 내외로 전망된다. 여름대파 주산지(경기·강원지역 등) 출하면적 증가로 전년 1,870원 보다 하락한 것으로 전망된다.

■당근
△생산전망 = 봄당근 생산량 전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봄당근 생산량은 2만 3천 톤 내외로,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11.5%, 14.4% 감소한 것으로 전망되며, 재배면적은 940ha 내외로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1.8%, 1.0%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단수는 2,461㎏/10a로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9.9%, 13.6% 감소한 것으로 전망되며, 일조량 부족으로 근성장 부진하며, 지근 발생률이 높아 단수가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
여름당근 재배면적 전년 및 평년 각각 8.8%, 9.1% 증가한 것으로 전망된다.
전년도 출하기 및 금년 파종기 가격 강세로 타작목에서 당근으로 작목을 전환한 것으로 전망된다.
△가격전망 = 7월 도매가격 전년 대비 상승한 것으로 전망된다.
7월 상품 도매가격은 75,000원/20㎏ 내외로 전년 및 평년 대비 상승한 것으로 전망된다.
7월 출하량은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11.6%, 22.6% 감소한 것으로 전망되며, 노지봄당근 작황 부진 및 봄당근 저장량이 줄어 출하량이 감소한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