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삼 농업기술의 길라잡이
국내외적 고려인삼 경쟁력 취약 대비 품질 경쟁력 강화해야
▣ 인삼의 효능-1
오랜 경험적 효능으로 명성과 전통을 자랑하는 고려인삼과 홍삼은 우리나라 고유 특산물로 세계에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효능과 약효 성분에 대한 과학적인 연구 결과들이 밝혀지고, 제도적으로 과학적인 품질관리 기준이 설정되면서 건강기능식품으로 더욱 각광을 받고 있어 다양한 제품이 웰빙을 선호하는 소비자들에게 애용되고 있다.
국내의 이러한 인삼과 홍삼 제품의 소비 증가 및 시장 확대 추세와는 달리, 해외 인삼 시장은 다소 위축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그 원인으로는 중국, 미국, 캐나다 등의 생산량 증대와 중저가삼의 물량 공세와 판촉 강화로 우리 인삼의 국제시장에서의 점유율은 점차 하락하는 추세가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서양삼은 고려인삼과는 식물 종이 달라서 주요 성분에서도 차이가 보이지만 해외의 고려인삼 시장 점유율을 감소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이제는 WTO 체제의 출현과 FTA 체결 등으로 시장 개방화가 곧 실현될 전망이어서 국내 시장에서도 외국삼과의 경쟁시대가 도래되고 있다. 국내외적으로 고려인삼의 경쟁력 취약 요인 중에서도 특히 타국 삼에 비해 ‘가격 경쟁력’이 약하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취약한 ‘가격 경쟁력’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품질 경쟁력’을 강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인삼의 생산자는 물론 인삼산업에 종사하는 모든 이들이 인삼 품질에 대한 이해를 필요로 한다.
더욱이 약용작물로서 고품질 인삼의 생산을 위해서는 인삼의 약효성분과 품질 지표 성분 및 주요 약리효능에 대한 이해도 필요하다. 따라서 고려인삼의 주요 약리활성 성분과 인삼 가공제품의 제조 기준과 품질규격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더불어 <건강기능식품공전>에서 규정하고 있는 건강기능식품으로서의 인삼과 홍삼의 품질 기준 및 한약재로서 <대한약전외 생약규격집>에서 규정하고 있는 인삼과 홍삼의 품질 기준에 대해서도 소개하고자 한다.
<원예원 인삼특작부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