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설원예농가 큰도움 기대
물 절약형 순환식 수막재배기술
2007-11-27 원예산업신문
|  | |
| ▲ 순환식 수막시스템의 구조. | |
|
농촌진흥청 원예연구소(소장 목일진)는 수막(水幕)으로 사용한 물을 버리지 않고 회수해 재활용하는 물 절약형 순환식 수막재배기술을 개발, 국제 유가 급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시설원예농가에 큰 도움을 줄 전망이다.수막재배는 비닐하우스에 지하수를 뿌려 일정 온도가 유지되도록 하는 기술로 난방비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전체 시설재배 면적의 20%에 달하는 약 1만ha가 보급되어 있는데 대부분 한번 사용한 지하수를 흘려버리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이에 따라 많은 량의 지하수가 소비되어 대부분의 시설재배 단지에서 지하수 부족의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물이 부족한 지역에서도 수막재배가 가능한 순환식 수막시스템 개발하여 농가 적응성 시험을 거쳐 본격적으로 농가 보급을 추진하고 있다.순환식 수막시스템은 기온이 낮아 물이 차가워 질 경우 일정 수온으로 가열하여 뿌리는 것으로 지하수 사정에 따라 완전 순환식, 부분순환식으로 조절이 가능하며, 1대의 장치로 단동하우스 3동(약 2,000㎡)을 동시에 작동할 수 있다.딸기, 상추, 감자 등 다양한 작물에 활용이 가능하며, 기존의 수막재배에 비해 지하수를 60~80% 절감할 수 있고, 경유 난방기를 사용하는 것과 비교하여 연료비를 60~70% 절약할 수 있다.전북 남원시 금지면 김의기 농가는 “순환식 수막은 작동이 편리하고, 지하수와 난방비도 절약되어 감자와 딸기 시설재배에 많은 도움이 되었으며, 정부나 자치단체에서 설치비를 적극 지원 해 조기 보급을 했으면 좋겠다”며 호평했다.원예연구소 김학주 연구관은 “순환식 수막재배 기술이 조기에 보급될 수 있도록 농림부, 농촌진흥청 등 관계 기관에 정책건의를 하였으며, 공동연구에 참여했던 산업체에 기술 이전을 통하여 본격적으로 농가에 보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