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북한 식량작물 전년 대비 31만 톤 증가

농진청, 2023년도 북한 식량작물 생산량 발표

2023-12-20     권성환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북방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2023년도 북한 식량작물 생산량’ 추정 결과를 발표했다.

북한 지역의 기상 여건, 병충해 발생 및 비료 수급 상황, 국내외 연구기관의 작황 자료, 위성영상 정보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이다. 

올 한 해 북한에서 생산된 식량작물은 총 482만 톤으로, 2022년도 451만 톤보다 31만 톤(6.9%)이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

작물별 생산량은 쌀 211만 톤, 옥수수 170만 톤, 감자·고구마 58만 톤, 밀·보리 22만 톤, 콩 19만 톤 및 기타 잡곡 2만 톤이다. 

쌀 생산량은 작년 대비 4만 톤(1.9%)이 증가했다. 벼 이앙기(5월) 평년보다 많은 강수량으로 제때 이앙이 이뤄졌고, 이삭 형성기(7∼8월)에 온도가 높고 일사량이 많아 알곡 수가 증가했고, 등숙기(9월) 일사량은 작년보다 약간 낮았으나 등숙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아 생산량이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

옥수수는 작년 대비 13만 톤(8.3%)이 증가했다. 생육초기(4∼5월) 평년보다 기온이 높고 강수량이 많아 영양생장이 양호했고, 개화기(7월) 강우가 적어 수정이 양호했으며, 그 이후 등숙기(8월)에 가뭄 피해가 없어 생산량이 증가한 것으로 분석했다.

감자·고구마는 작년 대비 9만 톤(18.4%)이 증가했다. 봄감자·여름감자 모두 양호한 기상 조건으로 괴경형성·비대기에 가뭄 피해가 적었고, 수확기에는 적은 강수량으로 괴경 부패 또한 적어 전반적으로 생산량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밀·보리는 작년 대비 4만 톤(22.2%)이 증가했으며, 콩은 작년 대비 1만 톤(5.6%)이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