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절 성수품 점검 우려 목소리 높아
특정 업체 문제 전체 문제로 오보 … 업체·농가 도산 위험 “섣부른 보도 업체 및 농가 피해 인지해야”
명절 성수품 생산 지도·점검을 두고 건강기능식품 업체와 농가들의 우려 섞인 목소리가 높다.
매년 식약처는 설날·추석 등 성수품 생산 지도·점검 위반 업체에 대한 단속을 실시하고 있지만 일부 위반 업체의 문제를 업계 전체의 문제처럼 오보하면서 제품에 대한 불신으로 인한 피해를 입는 사례가 매년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피해를 입은 기업에 대한 보상 제도는 없을 뿐더러 안정·위생과 관련해 직접적인 이미지와 매출 타격을 입는 업체·농가들은 식약처에 이렇다할 항변도 할 수 없는 실정이다.
식품업계에 따르면, 이같은 식품안전 논란이 불거지면 통상 6개월 가량 직·간접적인 피해가 이어진다. 직접 문제가 된 업체뿐 아니라 관련된 업체·농가들도 매출에 큰 타격을 입는다.
인삼제품협회 관계자는 “설 추석 명절 성수품 생산 지도·점검시 법을 위반하는 업체는 처벌받고 그렇지 않은 업체는 보호 받아야 하나 최근 언론보도 자료를 보면 문제가 된 업체만 공개를 해야 하는 데 업계 전체가 문제가 있는 것처럼 공개함으로서 소비자가 제품에 대한 불신으로 인해 선량한 피해자를 양산하고 있다”고 말했다.
인삼 업체 한 관계자는 “업체마다 안전센터나 품질책임 부서를 두고 식품 유해성을 점검한다. 장기적으로 식량자원 문제까지 염두에 두고 식품산업 발전을 꾀하고 있지만, 현재 과학으로는 밝히지 못하는 부분도 많아 자극적 유언비어가 돌때마다 속수무책인 실정이다”고 토로했다.
풍기 영농법인 관계자는 “특정 업체에 문제가 있는 내용을 전체가 문제가 있는 것처럼 섣불리 발표하면 업체·농가 둘 다 도산 위기에 처할 수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이에 관한 대표적인 예로 백수오 사태가 있다. 지난 2015년 ‘가짜백수오’ 파동이 일면서 섣부른 정부 발표와 과잉보도로 인해 고소득을 올릴 수 있는 작목으로 급부상하던 백수오는 날개 없는 추락을 하게 됐다. 충북농업기술원에 따르면, 백수오 파동 이전 100여농가에 달했던 농가수는 파동 이후 90% 이상이 감소했다.
최근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 당시 가짜 백수오 파문에 직격탄을 맞은 업체와 농가는 엄청난 피해를 감수해야 했다.
충북 제천에서 백수오를 재배하고 있는 한 농민은 “가짜 백수오 문제가 불거졌을 때 섣부른 정부의 대처와 보도로 인해 소비자들이 제품 구매를 포기해 판로를 잃은 농가들이 농사를 포기하고 떠났다”고 질타했다.
이어 “섣부른 보도가 업체 및 농가에 심각한 타격을 입을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이같은 일이 다시는 반복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